![](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29906961.1.jpg)
이때부터 4년간 1000억원이 넘는 돈을 쏟아 부은 결과는 대성공. 김영민 SFA 대표는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에서 스마트팩토리 기업으로 변신해 전방산업을 2차전지, 반도체, 유통으로 넓혔다"며 "올해는 전 세계에 '스마트팩토리=SFA'를 각인시키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9일 밝혔다. 스마트팩토리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적용해 제조라인 스스로 최적의 의사결정을 통한 생산효율 극대화를 추구하는 '고도로 지능화된 공장 자동화'를 말한다.
SFA는 1998년 말 옛 삼성항공 자동화사업부가 분사해 설립된 회사다. 옛 동양엘리베이터가 모태인 디와이홀딩스가 지분 40.98%를 보유한 최대주주이며 삼성디스플레이가 2대 주주(지분율 10.15%)다. 출범 23년 만인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조5649억원, 영업이익 1889억을 올렸다.
견조한 실적은 다변화된 매출처가 원동력이다. 전기차 및 유통부문 대기업들의 투자가 잇따르면서 일감이 늘어났다. 국내 주요 전기차 배터리 업체의 물류시스템 및 공정장비는 물론 이마트24, BGF(편의점 CU) 등의 물류센터 등에 이 회사 기술이 녹아 있다. 유통부문의 경우, 바코드 없이 수천, 수만 개 상품을 자동 분류하는 지능형 자동분류시스템이 대표적이다.
김영민 대표는 "올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국내·외 2차전지 및 유통 산업 부문을 통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며 "반도체 업황도 계속 좋아 수주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수주액은 작년(8041억원)을 현격하게 뛰어 넘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덕분에 2016년 전체의 10%선에 그쳤던 비(非)디스플레이 분야 수주는 지난해 70%선까지 높아졌다.
장비에 대한 전문지식(도메인 날리지)을 기반으로 제조 라인 전체를 턴키방식으로 자동화하는 게 강점으로 꼽힌다. 그는 "소수의 특정 공정장비를 자동화하는 기업은 많지만, 공정장비 및 물류 라인 전체를 스마트화할 수 있는 기업은 거의 없다"며 "도메인 날리지를 갖고 있느냐가 라인 전체의 성공적인 스마트화를 가르는 잣대가 된다"고 설명했다.
2차전지 등 다변화된 전방산업에서 수주가 늘어난 영향으로 SFA는 올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2017년(매출 1조9024억원·영업이익 2361억원)에 버금가는 실적을 달성할 전망이다. 신한금융투자는 올해 예상치로 매출 1조8894억원, 영업이익 2224억원을 제시했다. 김 대표는 "'메이드 인 코리아' 기술을 앞세워 스마트팩토리 패러다임을 확 바꿀 것"이라며 "글로벌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리더로 우뚝 서겠다"고 강조했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