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모닝스타를 인용해 중국의 지난해 기후펀드 규모가 전년에 비해 149% 증가한 470억달러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2020년에 비해 투자액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 같은 기간 유럽연합(EU)는 3250억달러(약 414조원)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미국은 310억달러(약 39조원)였다.
중국이 탄소중립 정책을 밀어붙이며 기후펀드 규모가 급증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0년 9월 유엔총회에서 ‘2030년 전 탄소정점, 2060년 전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인 중국이 탄소중립을 약속하면서 중국 내 자본 역시 기후펀드로 유입됐다.
지난해 중국 투자자들은 지난해 113억달러(약 14조원)를 중국 기후펀드에 투자했다. 2020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보야 왕 모닝스타 ESG 애널리스트는 “중국 자본은 정부 정책에 따라 움직인다”며 “정부 차원에서 탄소배출을 줄이려 하자 기후펀드 투자가 급증해/ㅅ다”고 설명했다.
중국 기후펀드 수익률도 투자자들을 끌어당기는 요소였다. 모닝스타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기후 펀드의 평균 수익률(작년 4월부터 지난달까지 12개월)은 15%였다. 같은 기간 미국의 기후펀드가 7%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
중국 당국이 정책적으로 지원하면서 수익률이 상승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탄소중립 정책을 이행하려 중국 정부가 녹색채권(Green bond)와 녹색대출 등 관련 상품을 대량 발행하며 투자를 유도했다. 에너지 기술주와 관련 펀드가 가장 큰 수혜를 봤다. 중국의 태양광 펀드가 중국의 가장 큰 기후펀드로 성장하는 데 단 18개월이 걸렸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정책 덕에 자산규모를 크게 늘렸지만 중국 기후펀드의 내실이 빈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모닝스타가 중국 내 106개의 기후펀드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수준을 평가한 결과 ‘보통’ 이상 등급을 받은 펀드는 11개에 불과했다. 중국 기후펀드는 유럽과 미국에 비해 운용 과정이 불투명하고 중국 정부 정책에 펀드 실적이 크게 좌우되는 등 위험 요인이 많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
왕 애널리스트는 “청정 에너지 등 녹색기술이 시장에 정착하려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자본이 유입돼야 한다”며 “중국 당국이 추진하는 저탄소 경제가 투자자들에게 장기 이익을 가져다 줄 지 의심스럽다”고 설명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