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29933317.1.jpg)
이달부터 전국 축산농가에 본격 유통되기 시작한 바이오칼슘은 계란껍데기인 난각에서 추출한 생균을 활용해 제조·생산한다. 계란 무게의 약 3~12%를 차지하는 난각에서 유익균을 추출하고 미생물과 기능성 원료를 조합하는 기술이 적용됐다.
난각은 미생물이 흡착하기 좋은 구조로 돼 있어 생균 부형제(사료 배합 물질)로서의 가치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윤성 하농 난각생균제 연구원은 “난각생균제를 닭과 돼지에게 공급하는 사료에 첨가하면 유해한 세균을 억제하고 소화와 성장을 촉진한다”고 설명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29936304.1.jpg)
하농은 2020년부터 2년에 걸쳐 건국대와 공동으로 총 10억원(정부지원금 포함)의 개발비를 투입해 바이오칼슘을 개발했다. 건국대에서는 유익균의 생존력을 극대화시키는 사료배합비에 대한 특허를 넘겨받았다. 지난 2월 대구에서 열린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서 국무총리상도 받았다.
이 회사는 2010년 한국항공대 벤처육성지원센터에 입주해 축산벤처로 성장해왔다. 가축 분변의 악취를 줄이고 육질을 개선하는 천연미네랄과 흑염소가 풀 대신 콩깍지 사료로 성장할 수 있는 사육방식을 개발했다.
회사는 난각생균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세계 유명 효소제 회사와 제휴를 맺고 의약품과 식품에 사용하는 효소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최주철 하농 대표(사진)는 “국내에서만 연간 약 9만t이 버려지고 있는 난각을 재생하면 축산농가의 생산성 향상과 환경 개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고양=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