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부동산 대출 규제 완화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내는 의견도 있었다. 위경우 한국금융학회장은 “금리가 올라가면서 가계 부채가 경제 위기 뇌관이 될 수 있다”며 “늘어나는 대출을 감당할 만큼 일자리가 확보될 수 있는 여건이 아니기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요동치는 글로벌 금융 환경에 대응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이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가 추진했던 MSCI 선진국지수 편입에 매달리기보다 국내 자본시장의 ‘내실’을 다지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전 자본시장연구원장)는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위해서는 외환시장을 개방해야 하는데 이 경우 원화가 투기 세력에 굉장히 취약해진다”며 “억지로 위험을 안기보단 외국인 장기 투자자들을 유치할 수 있게 한국 자본시장 매력도를 높이는 데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전 금융위원장)은 “지역 균형 발전을 이유로 추진 중인 금융 공공기관 이전 공약도 합리적인 절충점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복잡해진 세제를 단순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오문성 한국조세정책학회장은 “양도세를 포기한 세무사라는 의미의 ‘양포 세무사’란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지금의 세제는 누더기가 됐다”며 “최대한 단순하게 세제를 정상화하고 세법 개정은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안 교수는 “부동산, 파생상품, 주식 등 투자 상품 종류에 따라 양도소득세율이 제각각인 것도 세제의 복잡성을 높이고 있다”며 “세제를 대증요법처럼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황정환/김대훈/정의진 기자 j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