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를 잘 구성했더라도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률이 널뛰기할 수 있다. 시장 상황은 지금 이 순간에도 급변하고 있기 때문에 어제의 위험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고 상상조차 못했던 리스크가 현실화하기도 한다. 이론적으로 시장 상황이 안 좋을 땐 매수 기회가 되고, 반대일 땐 수익 실현의 기회가 된다. 하지만 하락장에선 투매를 부추기는 기술적 요인들이 있고, 더 하락할 것 같은 공포심을 유발하기 때문에 매수 결정이 쉽지 않다. 또한 상승할 때도 더 오를 것 같은 기대가 있기 때문에 빠져나오기가 쉽지 않다.
자산을 분산하듯 매수 시점도 분산해보기를 추천한다. 시장 상황이 안 좋을 땐 이론대로 매수로 방향을 잡는다. 이때 더 하락할지 모른다는 공포와 하락 상황이 길어질지도 모른다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분할 매수를 추천한다. 목표 매수 가격을 정해 놓고 도달할 때마다 일정 금액을 매수하는 방법이 있고, 적립식 투자를 활용하는 것도 좋다. 자동이체로 일정 시점에 일정 금액을 투자하도록 등록해 두고 자산이 급락할 때마다 추가 매수하는 전략도 괜찮다. 이렇게 해두면 장세가 바뀔 때 투자 성과는 더 좋을 것이고 심리적인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29960861.1.jpg)
김정혜 KB국민은행·WM스타자문단 명동스타PB센터 부센터장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