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29990867.1.jpg)
정부가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완화’를 내년 상반기 이후로 미룬 사실이 알려지면서 서울 목동신시가지, 노원구 상계주공 등 재건축 초기 단계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목동신시가지 13개 단지(전체 14개 단지 중 6단지 제외)는 대선 후 재개하려던 안전진단 절차를 또다시 중단했다. 노원구에서도 상계주공6단지, 태릉우성 등이 안전진단 일정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백지화된 안전진단 면제 공약처럼 안전진단 기준 완화도 결국 유야무야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29991875.1.jpg)
윤 대통령의 안전진단 기준 완화 공약에 기대를 걸었던 총 2만6629가구 규모 목동신시가지 단지들은 정부가 시행 시점을 내년으로 늦추기로 하자 허탈해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1·2·3·4·5·7·10·13·14단지 등 적정성 검토 단계에 들어간 9곳은 안전진단 수행 기관에 보완 서류 제출을 미루는 식으로 일정을 보류하고 있고, 8·12단지는 적정성 검토 신청도 하지 못한 상태다. 9단지 관계자는 “현행 기준대로라면 13개 단지 중 한두 곳을 빼고는 모두 적정성 검토를 통과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목동신시가지는 1985년부터 입주해 건축연한이 40년에 가깝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29992870.1.jpg)
윤 대통령의 공약은 안전진단 평가 항목 중 ‘구조 안전성’ 가중치를 50%에서 30%로 낮추는 대신 ‘주거 환경’(15%→30%), ‘건축 마감·설계 노후도’(25%→30%) 등의 배점을 높여 안전진단 통과를 쉽게 한다는 것이다. 구조 안전성 가중치가 현행 수준으로 높아진 2018년 이후 서울에서 적정성 검토를 받은 12개 단지 중 60%에 해당하는 7곳이 재건축 불가 판정을 받았다. 안전진단 평가 기준 변경은 법 개정 없이 국토교통부 시행령·행정규칙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가능해 새 정부 출범 후 이른 시일 안에 시행될 것이란 관측이 나왔지만 최소 반년 넘게 늦어지게 됐다.
그러나 양천구와 노원구에서는 “강남도 재건축을 승인해주고 지은 지 갓 30년 된 1기 신도시도 재건축을 완화해주겠다고 하면서 왜 우리 발목만 잡느냐”고 반발하고 있다. 양천구와 노원구는 재건축 가능 연한(30년)을 넘겼지만 안전진단을 시행하지 않은 단지가 서울에서 가장 많은 지역이다.
반면 압구정동 현대·한양,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등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주요 재건축 단지 상당수는 안전진단을 통과해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경기 성남시 분당, 고양시 일산 등 1기 신도시에 대해선 정치권이 특별법 제정을 통한 재건축 활성화를 앞다퉈 약속하고 있다.
목동신시가지 관계자는 “대선 이후 집값이 급등한 곳은 강남 재건축 단지”라며 “강남을 놔두고 나머지 지역 집값만 잡아 시장을 안정화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하헌형/이혜인 기자 hh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