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26400135.1.jpg)
재건축 사업에서 고비로 여겨지는 ‘정밀안전진단’ 완화를 두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관계부처에서 엇박자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관련 방안을 올해 하반기 추진하기로 한다고 했지만, 국토교통부는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투기과열지구에서 공급되는 아파트 가운데 분양가가 9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에도 특별공급이 적용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서울 강남에 공급되는 아파트에서도 특공 물량이 나올 수 있단 얘기입니다. 오늘도 부동산 관련 뉴스 전해드립니다.
하지만 국토부는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완화 추진 시기, 구체적인 완화 범위 등은 확정된 것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재건축 안전진단 완화 자체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인수위에서 제안한 110대 국정과제를 바탕으로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추진할 계획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입니다.
9억원 기준이 상향되는 강남권에서도 특공 물량이 나올 수 있습니다. 최근 서울 강남 3구에서 공급된 특공 물량은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전용 34㎡ 100가구가 전부였습니다. 이와 함께 중도금 대출 기준도 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분양가 9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중도금 대출받지 못하는데, 특공 취지에 맞게 대출이 동반돼야 해서입니다.
계도기간을 연장하는 이유는 제도 자체가 미신고자들을 적발해 과태료를 물리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임대차 시장에 있는 정보를 최대한 많이 수집해 일반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한다는 게 취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월세 신고제는 보증금 6000만원 또는 월세 30만원을 초과하는 모든 전·월세 계약을 신고하는 제도입니다. 신고하지 않거나 허위 정보로 신고하면 과태료가 최대 100만원 부과됩니다.
또한 시공사 측은 오는 8월 끝나는 7000억원 대출 보증을 연장해 달라는 조합 측 요청도 거부하기로 했습니다. 조합은 2017년 NH농협은행 등 금융사 24곳으로 이뤄진 대주단에서 사업비를 빌렸습니다.
1만2000가구가 넘는 국내 최대 아파트 단지 연내 분양, 내년 입주가 사실상 무산됐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6000여명에 달하는 조합원들의 경제적 부담이 커졌고, 청약을 준비하고 있던 실수요자들도 ‘내 집 마련’ 계획에 차질이 빚어졌습니다.
식후땡 부동산은 한국경제신문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 '오디오'로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