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총무성은 지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1% 상승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일본의 CPI는 8개월 연속 상승세다.
지난 1년 가까이 물가를 1.4%포인트 낮추는 요인으로 분석됐던 휴대전화 요금 인하 효과가 사라지면서 3월 0.8%였던 물가상승률이 단숨에 2%를 넘었다.
일본 물가가 2% 넘게 오른 것은 2015년 3월(2.2%) 이후 7년1개월 만이다. 당시 물가상승률이 가팔랐던 이유는 일본 정부가 2014년 4월 소비세를 5%에서 8%로 올린 영향이 1년간 이어졌기 때문이다. 소비세 인상으로 인해 물가가 2%를 넘었던 이 시기를 제외하면 4월 물가상승률은 2008년 9월 이후 13년7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신선식품 가격을 반영한 종합 물가지수는 2.5% 올라 1991년 12월 이후 3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에너지 관련 물가가 19.1%로 가장 많이 올랐다. 전기료와 휘발유 가격이 각각 21%, 15.7% 상승했다. 식빵(8.9%)과 식용유(36.5%) 가격이 급등하면서 식료품 가격도 2.6% 뛰었다.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은 30년 넘게 계속되는 디플레이션에서 탈출하기 위해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2%로 정하고 있다. 물가가 2%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오르면 기업의 이익이 늘고, 임금이 상승하면서 경제를 활성화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진다는 분석이다. 일본은행은 물가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2016년부터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도입하는 등 10년 가까이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4월 물가가 7년 만에 목표치에 이르렀지만, 원자재값 급등이 물가를 밀어 올린 비용상승 인플레이션으로 분석된다. 임금 인상 효과에 따른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을 유도하려는 일본 정부 및 일본은행의 정책 목표가 달성됐다고 보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일본은행은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 인상 등 통화긴축 정책은 불필요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수입물가 상승과 엔화 가치 하락이 유발한 비용상승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일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금리를 올리면 소비심리를 악화시키고 기업 활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도 일본은행이 신중함을 유지하는 배경으로 분석된다.
일본의 물가상승률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편이다. 미국의 4월 물가상승률은 8.3%로 2개월 연속 8%를 넘었다. 유럽연합(EU)과 영국의 물가상승률은 각각 7.4%, 9%였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