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085499.1.jpg)
이주비·원자재 실질 가격 등을 반영한 분양가 상한제 개선안이 다음달 발표된다. 물량 부족에 시달리는 도심 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선 분양가 상한제 개선이 급선무라는 판단에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083175.1.jpg)
임대차 3법(전·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신고제)은 임대인의 보유세 감면과 같은 혜택(인센티브) 도입으로 보완할 방침이다. 오는 8월부터 계약갱신청구권을 소진한 신규 전세 물건이 시장에 쏟아지면서 임대인들이 4년치 보증금을 한꺼번에 올릴 경우 서울 전세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많다. 원 장관은 이와 관련, “통상 하반기에 전·월세 이동 비율이 높은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른 시일 내 전·월세 매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도를 손볼 계획”이라며 “장기 계약하거나 전·월세 가격을 낮춘 임대인에게 보유세 감면 등의 인센티브를 주고 등록임대 사업자에게도 세제 혜택을 주는 방식의 보완안을 6월에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확충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국토부는 이미 GTX 추가 노선 발굴을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원 장관은 “GTX는 결국 입지의 희소가치를 분산시키는 게 핵심”이라며 “사업자 선정 등 절차를 거친 GTX A·B·C 3개 노선은 정부 임기 내 착공하고 신규 노선인 D·E·F는 예비타당성조사까지 완료할 것”이라고 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