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086829.1.jpg)
인구 고령화로 수급자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국민연금 수급자가 2030년에 874만 명, 2040년 1290만 명, 2050년 1601만 명, 2060년 1689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연금 지급액도 가파르게 늘고 있다. 공단은 2022년 3월 기준으로 매월 2조6000억원을 592만 명의 수급자에게 지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올해 연금 지급액은 3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연금 지급액이 2015년 15조2000억원, 2018년 20조7000억원으로 늘고 2020년에 25조원대로 올라선 걸 감안하면 상당히 빠른 속도다.
월 100만원 이상 수급자도 올해 3월 기준 48만7000여 명으로 2020년 4월 29만5000여 명에 비해 19만 명(65%) 증가했다.
기획재정부도 ‘2020~2060년 장기재정전망’에서 국민연금이 2041년이면 적자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민연금 ‘재정 펑크’를 막기 위해선 ‘더 내고 덜 받는’ 방식으로의 연금개혁이 불가피한 게 현실이다. 문재인 정부는 연금개혁을 방치했다.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1998년 9%로 정해진 뒤 현재까지 동결돼 있다.
윤석열 정부는 정부 출범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발표를 통해 국민적 합의를 거쳐 국민연금을 개혁하겠다고 밝혔다. 안철수 당시 인수위원장은 “국민이 평생 국민연금을 내도 2055년부터는 국가가 지급할 돈이 없다”고 했다.
문제는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느냐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을 현재 수준(40%)으로 유지할 경우 적정 보험료율은 12%대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지금보다 보험료율을 3%포인트 더 올려야 한다는 얘기다. 윤석명 전 한국연금학회장은 “임금 구조와 경제 여건까지 악화된 상태에서 적기에 연금개혁을 하지 못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새 정부가 국민연금 의사결정기구부터 전문성 있는 인사들로 채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