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5월 17일자 A4면 참조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099663.1.jpg)
산업부는 다만 발전사들이 전력을 생산할 때 든 원가(발전연료비)가 SMP 상한가보다 높은 경우 실제 연료비를 보상해주기로 했다. 발전사의 손실을 막기 위한 조치다. 발전사 입장에선 손실은 피할 수 있지만, 이익은 당초보다 줄어들 수밖에 없는 방식이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에 민간 발전사들은 ‘원칙 없는 가격 개입’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정부가 전기요금 정상화라는 근본적 해결책은 뒷전으로 미룬 채 민간 발전사의 수익을 빼앗아 한전의 손실을 메우려 한다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가 내세운 ‘시장주의’와도 결이 다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윤 정부 출범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전기요금 원가주의 원칙’을 내세워 전기요금 현실화 방침을 내비쳤다.
일각에선 정부가 탄소중립 목표를 이행하기 위해 석탄발전소를 줄이는 대신 신재생발전과 액화천연가스(LNG)발전을 늘리고 이 과정에서 민간 발전사의 참여를 유도해온 것과 역행하는 조치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반면 장기 도입 계약으로 싼값에 LNG를 들여온 민간 발전사들은 연료비 상승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게 산업부 판단이다. 주요 민간 발전사 7곳의 올 1분기 영업이익 합계는 8387억원으로 작년 한 해 영업이익 합계(8101억원)보다 많다. 지난 1분기 SK E&S는 1051억원, 포스코에너지 1066억원, GS파워는 94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SMP 상한제가 시행되면 민간 발전사가 이익을 크게 내긴 어려워진다.
하지만 이는 미봉책에 불과하며 그동안 유명무실해진 ‘연료비 연동제’부터 제대로 시행해 전기요금을 서서히 정상화하는 게 정석이라고 에너지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는 “연료비 연동제 적용과 전기요금 인상이 없으면 한전 적자 문제는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지훈/김소현 기자 liz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