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116859.1.jpg)
작년에도 두 차례에 걸쳐 할인율을 7~15% 줄이는 방식으로 종이 가격이 오른 터라 출판업계는 이번 가격 인상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할인율은 제지회사나 도매상에서 고시가(정가)보다 낮은 가격에 종이를 구입할 때 적용하는 비율을 뜻한다.
한국출판인회의 정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홍영완 윌북 대표는 “작년 초보다 고시가가 50% 가까이 올랐다”며 “할인율 축소 등을 고려한 체감 상승 폭은 두 배에 이른다”고 말했다. t당 90만원 중반에 구매하던 것이 지금은 200만원에 육박한다는 설명이다.
종이 가격이 뛰는 건 글로벌 원자재 파동에 종이 원료인 펄프 가격이 날뛰고 있어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고시한 5월 펄프 가격은 t당 940달러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펄프 가격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파르게 올랐다. 올 들어 상승률은 43.5%에 달한다. 원유 가격과 해상운임 상승도 영향을 미쳤다.
신간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책은 공공재적 성격을 갖고 있어 원자재 가격 인상을 책값에 100% 반영하긴 어렵다고 출판업계는 하소연한다. 대한출판문화협회에 따르면 2011년 평균 1만3010원이던 신간 정가는 2020년 1만6420원으로 연평균 3% 오르는 데 그쳤다.
홍 대표는 “제지회사들로부터 아직 공문에 대한 답을 듣지 못했다”며 “국내에서 해법을 찾지 못한다면 해외에서 종이를 들여오는 방안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