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094569.1.jpg)
충남 천안은 ‘빵의 도시’로 유명하다. 호두과자 가게와 유명 수제 빵집이 즐비하다. 프랜차이즈 제과점을 제외한 개인 빵집이 300여 곳에 이른다. 빵집이 올리는 연간 매출은 3000억원이 넘는다. 시는 지난해 10월 10일을 ‘빵빵데이’로 지정하고 국민 참여 이벤트를 열어 큰 관심을 모았다. 시는 인플루언서 33개 팀 100명을 ‘빵지 순례자’로 임명해 천안 빵집을 전국에 알리는 행사를 했다. 당시 참가자들이 올린 빵집 후기는 SNS를 뜨겁게 달궜다.
천안이 빵의 도시가 된 배경엔 호두과자가 있다. 천안 호두과자는 1934년 처음 나왔다. 1960년대부터 천안역과 터미널 주변에 10여 개 제과점이 생겨났고, 기차 안에서도 호두과자가 판매됐다.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국민의 간식’으로 인기를 끌면서 천안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호두과자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제빵 기술이 발달했고, 수제 빵집이 곳곳에 문을 열었다. 천안에는 호두과자를 생산하는 대신제과가 있다. 이 회사는 호두과자 재료와 제조기기를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200여 곳에 공급한다. 이 회사는 천안 호두과자의 전통을 잇기 위해 호두과자 반죽과 제조 방법 등 14개 기술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천안 제2 산업단지에는 신세계푸드 천안공장이 있다. 2004년부터 1000억원 규모의 빵과 케이크, 과자 등을 생산한다.
2026년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K컬처 세계박람회도 개최한다. 독립기념관의 인프라와 콘텐츠를 활용해 역사와 한류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곳에 K팝을 비롯한 영화·드라마, 음식, 뷰티·패션 등 다양한 한류 콘텐츠를 담은 전시관을 세울 계획이다. 한류 콘텐츠 체험 프로그램도 개발하기로 했다.
시는 최근 K컬처 세계박람회를 위한 기본계획 연구용역에 들어갔다. 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 국립청소년수련원, 백범 김구 사업회와도 협의해 주제 선정, 기본구상, 국제행사 승인을 추진할 방침이다. 대중교통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시는 지난 3월부터 수도권 전철과 천안 시내버스 환승 할인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2005년 수도권 전철 천안역 연장 후 17년 만이다. 비수도권에서는 처음으로 심야버스와 도심 급행 순환 버스도 운행한다.
시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C노선 천안 연장을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하기 위한 사전 작업에 들어갔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GTX-C노선을 경부선을 활용해 천안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다. 시는 최근 학술·기술 분야 엔지니어 등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을 위촉하는 등 타당성 확보에 나섰다.
천안역 증·개축 사업은 기본 및 실시설계 중으로 내년 상반기 설계를 완료하고,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시는 미래형 도로 인프라 확충에도 힘쓰고 있다. 2년 연속 국토교통부 지능형교통체계(ITS) 사업에 선정돼 내년까지 도심 곳곳에 스마트 교차로와 횡단보도 등 첨단신호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통합 주차정보 플랫폼 구축 사업도 추진한다.
지난해에는 국토부 국도·국지도 5개년 계획에 천안형 외곽순환도로 4개 사업이 반영돼 1조원의 국비도 확보했다. 2027년까지 30㎞ 순환도로 교통망을 구축하고, 2025년까지 78㎞ 구간의 천안형 자전거 둘레길도 조성한다. 신동헌 부시장은 “양질의 일자리가 넘쳐나고 문화예술이 살아 숨쉬는 편리하고 쾌적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천안=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