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번 지방선거는 구·시·도의원 등은 물론 교육감과 국회의원 보궐 선거까지 동시에 치러지면서 출마자 수가 무려 7616명에 이른다. 2020년 제21대 총선 당시 등록된 후보자(1101명)의 7배가 넘는다. 인쇄물과 홍보 트럭 수도 그만큼 더 들어간다. 정치권에선 ‘선거의 경제학’이라는 용어가 나올 정도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30128045.1.jpg)
유동 인구가 많은 버스 정류장이나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하는 선거 현수막은 장당 5~6만원 수준이다. 건물 외벽을 덮는 대형 현수막은 가격이 15만원에서 40만원까지 올라간다. 행정동이 425개인 서울은 후보당 현수막을 850개까지 걸 수 있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 때 제작된 현수막은 13만8192개에 달했다.
후보자의 학력·경력·재산·전과 등 관련 자료와 정당별 공약이 세세하게 담긴 공보물의 경우 분량과 종이 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제작 및 발송에 최대 수십억원이 든다. 지난 지방선거에선 총 6억4650만부의 공보물이 인쇄됐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30128055.1.jpg)
‘후보자의 발’이 돼 지역구를 누비는 유세차량은 대부분 1.5t 트럭을 개조한다. 선거기간인 13일간 임대료는 1000만원에서 2000만원 정도. LED 화면, 스피커 등 옵션을 붙이면 최대 3000만원까지 상승한다. 40인승 버스 전체를 광고로 래핑한 유세 차량은 임대료가 3000만원~4000만원 들어간다.
홍보 효과가 가장 큰 건 각종 광고다. 1분 남짓의 TV 광고는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원이 든다. 5차례까지 내보낼 수 있다. 포털사이트 메인 화면에 띄우는 온라인 광고는 1억원대다. 올해 3월 치러진 대선에서 국민의힘은 방송·신문·인터넷·라디오 등 광고에만 100억원 가까이 지출해 가장 많은 비용을 쏟아부었다. 민주당은 방송 연설 및 광고에 74억여원을 투입했다. 유튜브·틱톡 등 SNS를 활용해 짧고 재미있는 영상 콘텐츠를 활용하는 경우도 많다.
선거송도 최고의 홍보수단이다. ‘잘 만든 선거송, 열 공약 안 부럽다’라는 말이 나돌 정도다. 최근엔 중독성 있는 멜로디로 후보자들의 이름과 정책을 잘 표현할수 있는 트로트 장르가 대세다. 지난 대선에선 이찬원 ‘진또배기’, 영탁 ‘찐이야’ 등이 불렸다. 사용료는 천차만별이지만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따르면 대개 한 곡당 200만~300만원 가량 드는 것으로 알려진다. 가수와 상관없이 저작권자인 작사·작곡가의 사용 허락만 받으면 쓸 수 있다. 이 밖에 선거 운동원 모집부터 모자, 의상, 선거 사무실 임대료도 그야말로 ‘억’ 소리가 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30128078.1.jpg)
나갈 돈이 많은 탓에 정당과 후보 모두 사정이 빠듯하다. 원내 정당에 한해 국회 의석과 최근 정당 득표율 등을 기준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선거보조금을 지원 받는다. 올해는 6개 정당이 489억6500만원을 차등 지급 받았다. 이 밖에 펀드 모금, 대출, 특별당비 등을 더해 선거비용을 충당한다.
선거가 끝난 뒤에는 국가에서 선거 보전금을 받는다. 득표율이 15%가 넘으면 전액을, 10~15% 사이면 절반을 되돌려 받는다. 지난 지방선거에선 정당 및 후보가 2656억원을 보전받았다. 중앙선관위는 자금이 부족한 군소정당 후보자들과의 형평성을 위해 선거 비용 지출 상한선을 정한다.
선거 비용 ‘0원’으로 투표 전 당선을 확정지은 후보도 있다. 경쟁 후보 없이 단독 출마한 경우다. 이 경우 선거운동이 금지된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이번 지방선거에서 투표없이 당선된 후보자는 총 494명에 이른다. 4년 전에 비해 5배 가량 늘었다. 정치 지형이 극심하게 양극화한 결과로 해석된다. 광주·전북·전남에서는 민주당 후보 68명이, 대구·경북·경남에서는 국민의힘 후보 87명이 무투표로 당선됐다.
서희연 기자 cub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