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으로 네덜란드, 벨기에 등에선 1737~1738년보다 1740~1741년 곡물 가격이 77.0% 뛰었다. 덴마크에선 같은 기간 곡물가가 71.4% 올랐다. 핀란드는 67.1%, 스웨덴은 60.0%, 아일랜드는 56.7% 급등했다. 스코틀랜드(52.9%) 독일(47.6%) 노르웨이 (44.1%) 등도 식료품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남부 유럽은 상대적으로 타격이 적었지만 이탈리아(37.2%) 프랑스(35.7%) 오스트리아(33.7%) 잉글랜드(32.9%) 스위스(30.7%) 등도 부담이 급증하긴 마찬가지였다.
이 같은 곡물가 상승의 여파로 1735~1739년에 비해 1740~1742년의 사망 증가율도 크게 높아졌다. 다만 곡물가 상승률과 사망자 증가율이 비례하지는 않았다. 노르웨이 사망자 수가 81% 늘어난 것을 비롯해 핀란드(51.8%)와 아일랜드(25.3%) 등의 사망률 증가율이 높았다. 프랑스도 사망자가 24.5%나 늘었고 잉글랜드는 23.4% 상승했다. 아일랜드, 노르웨이, 핀란드 등은 식량 부족 여파로 사망자 증가율이 당시 러시아와 한창 전쟁 중이던 스웨덴(22.7%)을 크게 웃돌기도 했다. 전쟁보다 굶주림이 훨씬 무서운 재앙이었던 셈이다.
당시 프로이센, 폴란드, 우크라이나 등 곡창지대에서 생산된 농작물은 발트해를 거쳐 암스테르담을 거점으로 북유럽 각국에 제공되는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안방에서 생산되는 작물량이 급감하면 대처하는 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었다.
18세기의 두 차례 인구 위기에 대해 역사학자 존 포스트는 “곡물가가 2년 이상 50% 이상 급등할 경우 사망률과 질병 전염 비율이 따라서 급증하는 것은 명확하다”면서도 “다만 산업화 이전 시기의 전염병에 의한 사망률 증가가 주로 영양 부족에 기인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고 말했다. 지역별로 영양 부족이 모두 똑같은 결과로 이어지진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영양 부족과 전염병 간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기는 쉽지 않은데 이는 주거환경과 개인위생 수준, 주변 자연환경 차이, 국가와 사회의 대응 역량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 시기에 비약적으로 발전한 농업기술도 어느 정도 인구 감소 충격에 완충 역할을 했다.
2. 식량 부족으로 대기근을 겪었던 국내외 사례를 찾아보자.
3. 세계 식량 소비량과 생산량에 대해 학습해보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