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099480.1.jpg)
“안타깝게도 촬영 후 1주일쯤 뒤에 말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 사고를 방지하지 못하고 불행한 일이 벌어진 점에 대해 시청자분들께 거듭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난 1월 20일 KBS는 시청자에게 사과문을 발표했다. 당시 방영 중이던 대하사극의 낙마 장면을 촬영하던 도중 말이 넘어져 죽자 동물학대 비판이 거세게 일어난 직후였다. 이 사고는 근래 반려동물 등에 관한 ‘동물권’ 인식 확산 바람을 타고 우리 사회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사전적으로 사망은 ‘사람의 죽음’을 뜻한다. 우리 인식에 소 돼지 등 짐승의 죽음을 ‘사망’이라고 하지 않았다. 그렇게 배우고 써왔다. ‘말 사망’에서 오는 어색함은 그런 학습효과에서 연유하는 것 같다. 말을 아는 것과 올바로 구사할 줄 아는 것은 다른 얘기다. ‘사망’이란 말은 누구나 알지만, 그 대상이 사람에 한정돼 쓰인다는 점은 종종 간과한다.
용법을 알아야 말을 정확히 쓸 수 있다. 글쓰기에서 이게 왜 중요하냐면 ‘글의 자연스러움’을 결정하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글은 물 흐르듯 매끄럽게 이어져야 한다. 용법을 거스르면 읽을 때 어색해져 흐름이 막힌다. 한마디로 세련되지 못한 글이 되고 만다. 문맥에 따라 ‘사망’ 대신 ‘죽음’을 쓰는 게 대안이다. ‘죽음’은 생물의 생명이 없어지는 현상을 이른다. 사람에든 짐승에든 두루 쓸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이 있다. 시대가 바뀌어 ‘사망’이란 단어도 진화 중이다. ‘동물권’이란 말이 비교적 새로 등장했듯이 ‘사망’의 의미 대상도 확장 중이다. ‘반려동물 사망신고’니, ‘등록동물의 사망’이니 하는 식으로 행정용어가 쓰여 자연스럽게 입에 오르내린다. 그러니 무조건 잘못 썼다고 탓할 수도 없는 일이다. 다만 ‘사망’ 범주에 짐승도 포함하게끔 사전 풀이를 바꿔야 국어 사용에 혼란이 생기지 않는다. 물론 쉬운 게 아니다. 지역 간, 세대 간, 계층 간 단어 용법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때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2010년대 들어 <웹 표준국어대사전>의 ‘서식’과 ‘서식지’ 풀이가 지금처럼 동식물을 두루 포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서식’의 용례 역시 그에 맞춰 ‘수생 식물 서식’과 ‘희귀 동물의 서식’을 함께 제시했다. 식물에도 ‘서식’을 쓸 수 있게 됐다는 뜻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27975217.1.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