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140189.1.jpg)
영국 정부는 또 가계의 에너지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오는 10월 모든 가구의 에너지 요금을 400파운드 깎아주기로 했다. 저소득층 800만 가구에는 보조금 650파운드가 추가 지원된다.
헝가리 정부도 이날 횡재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 빅토르 오르반 총리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물가 폭등 등 경제 위기가 우려된다”며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지 이틀 만에 내놓은 첫 조치다. 헝가리판 횡재세의 부과 대상은 에너지 기업 외 보험사, 항공사, 유통업체, 통신사, 제약사 등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총 8000억포린트(약 2조8000억원)를 걷을 예정이다. 헝가리 정부는 추가 세수를 에너지 요금 안정과 국방비에 쓸 계획이다. 마르통 너지 경제개발장관은 “기업의 이윤이 아니라 초과이윤을 회수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 3월 이탈리아도 2021년 10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기업 이익 증가액이 500만유로(약 67억원)를 초과할 경우 전년 대비 10% 높은 세금을 매겨 44억유로의 재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에너지 가격이 떨어졌을 때 생산 시설을 줄이지 않은 업체들이 누리게 된 합당한 보상을 빼앗는다는 지적도 있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제품 가격 하락 등 어려움을 견딘 기업들”이라며 “가격이 상승할 때 이익을 몰수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고 보도했다.
영국 보수당의 리처드 드랙스 의원은 “정부가 사회주의자들에게 먹잇감을 던져줬다”고 비판했다. 이런 여론을 감안해 영국 정부도 “석유·가스 요금이 정상으로 돌아가면 횡재세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며 “또 에너지 기업이 이익을 재투자하면 세금을 90% 경감해주겠다”고 밝혔다.
에너지 기업들은 올초부터 영국 정치권을 중심으로 번지는 횡재세 논란을 의식해 선제적으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쉘은 향후 10년간 최대 250억파운드를, BP도 2030년까지 180억파운드를 쏟아붓겠다고 공언했다. 이탈리아 에너지 기업 에니도 영국에서 향후 4년간 25억유로를 투자하기로 했다. 그럼에도 영국 정부가 횡재세 도입을 발표하자 BP는 “투자를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