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30181616.1.jpg)
회생 신청 급증은 코인·주식 투자 빚은 개인의 책임으로 보고 탕감해주지 않던 과거와 달리 채무 감면 결정을 해주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회생법원 관계자는 “최근 코인·주식 채무자도 구제해 경제 활동원으로 복귀시키는 게 효율적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관련 규정을 개정하는 실무 태스크포스(TF)도 구성해 논의 중”이라고 했다. 개인파산·회생 전문가인 김봉규 문앤김 법률사무소 변호사는 “도박빚을 진 사람도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등의 교육확인서를 제출하고 채무를 비교적 많이 갚는 변제계획안을 제출하면 회생 인가 결정을 내려주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커뮤니티에서 신용회복위원회의 개인워크아웃 등 채무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저강도 채무탈출’ 수단보다 유독 ‘개인회생’ 신청을 권하는 글이 넘쳐나는 까닭이다. 디씨인사이드 주식, 해외선물 갤러리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채무를 탕감해주고 상환 기간을 연장해주는 개인 워크아웃은 신청하지 않으면 인생의 손해’ ‘위원회 이용이 어려워지면 회생하면 그만’ 등의 글이 수시로 올라온다. 박시형 변호사는 “채무초과 상태가 임박한 시점에서 고의로 대출을 더 받아 투자하고선 회생·파산을 신청하는 사례도 종종 있다”고 전했다.
로펌과 개인 변호사들이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 등을 통해 ‘테라·루나, 비트코인 회생도 전문가 하기 나름’ 같은 문구를 내세우는 등 경쟁적으로 마케팅에 나선 것도 이 같은 분위기에 한몫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개인 회생의 목적이 ‘빚으로 생계 위협을 받는 채무자의 구제’인 까닭에 신청 자체를 막을 순 없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기 때문에 손실을 분담해야 한다는 논리다. 한 법률 전문가는 “채무자 중에는 앞으로 수십 년 일할 2030세대 투자자도 많다”며 “극단적인 투기꾼이 아닌 한 회생을 불허하는 것은 과도하다”고 설명했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