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7.19431757.1.jpg)
이런 무관심의 틈을 비집고 현역 교육감이 곧잘 재선에 성공한다. 어디서 들어본 듯한 이름, 낯익은 얼굴을 적당히 골라 찍는 이가 많아서다. 불공정 어부지리다.
교육 현실에 대한 환멸은 무관심을 부른 또 다른 뿌리다. 교육감이 바뀌든, 입시제도가 달라지든 팍팍한 교육 현실은 바뀌지 않았다. 사교육비 부담은 여전하고, 유명 대학 가기는 힘들며, 취업은 가시밭길이다. ‘위너와 루저’로 나누는 아이들의 극과 극 오디션은 여전히 반복된다. 직업계고 취업률은 반 토막 났고, 청소년 우울증은 갈수록 늘어난다. 작년 10대 자살률은 9.4% 증가했다. 교육이 바로 섰다면 이 지경이 됐을까. 진보, 보수 책임이 따로 없다.
교육감 직선제는 고비용·저효율 제도다. 정치 중립을 이유로 정당 지원을 받을 수 없다. 개인 돈이 그래서 많이 들어간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는 61명의 후보자가 677억원을 썼다. 전국 평균이 11억1000만원. 서울 후보는 최고 28억원까지 지출했다. 일반 지방 선거의 두 배쯤이다. 그뿐인가. 세금도 많이 들어간다. 올해 교육감 선거 예산으로 각 시·도는 2000억원을 썼다.
선거 빚을 갚는다는 이유로 시험문제를 빼돌리거나 자기 수족을 취업시키는 불량범죄도 드물지 않다. 한 지역에선 이런 비위로 2명이 잇달아 구속되기도 했다. 참교육을 담당해야 할 이들이 말 그대로 ‘학교 교육’을 다시 받게 된 것이다. 누가 누구의 인성과 미래를 책임지겠다는 건지가 아리송하다.
그러는 사이 학생들은 정책 실험의 모르모트로 전락하고 말았다. 지자체장 다르고, 교육감 다른 난장판 교육의 폐해다. 폐기했어야 할 제도를 ‘직선제의 멋’에 빠져 좀비로 되살려온 어른들의 업보다. 대안은 즐비하다. 대통령 임명제든, 선거공영제든, 지자체장 러닝메이트제든 논의할 때가 왔다. 이제는 끝내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