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ZA.30201860.1.jpg)
윤석열 대통령이 2일 6·1 지방선거 결과에 대해 “경제를 살리고 민생을 더 잘 챙기라는 국민의 뜻으로 받아들인다”며 “정부는 첫째도 경제, 둘째도 경제, 셋째도 경제라는 자세로 민생 안정에 모든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여권에선 지방선거 승리를 발판 삼아 각종 개혁 작업에 나선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선거에서 확인된 민심을 무기로 노동·교육·연금·공공개혁 등 4대 개혁과 ‘세제 정상화’에 속도를 낼 가능성이 크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AA.30208209.1.jpg)
우선 공공부문 개혁 방안이 조만간 마련될 가능성이 높다. 이르면 이달 대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공공기관 혁신 전문가 간담회를 열어 공공개혁 방안을 논의했다. 최상대 기재부 2차관은 “최근 공공기관 비대화와 생산성 저하, 방만 경영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국민 부담을 완화하고 양질의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체질 개선 및 혁신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노동개혁도 주 52시간제 보완, 중대재해처벌법 부작용 해소 등을 중심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 개정된 노동조합법이 재개정될 가능성도 있다. 개정 노조법은 해고자와 실업자의 노조 가입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경제계에서는 노조 파업 시 대체근로 허용 등 회사의 방어권을 보장하는 내용도 노조법에 포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금개혁과 교육개혁도 사회적 합의 등의 과정을 거쳐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규제 개혁도 속도가 붙는 분위기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최근 규제혁신추진단을 구성해 덩어리 규제를 집중적으로 없애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윤 대통령에게 규제혁신전략회의를 주재해달라고 요청했고, 윤 대통령은 긍정적으로 검토해보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규제혁신전략회의는 기업의 규제 애로사항을 찾아내 없애기 위한 회의체로 민·관이 함께 참여한다.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한 재정준칙 도입도 새 정부의 핵심 과제다. 기재부는 이르면 연내 재정준칙 관련 논의를 공식화할 계획이다.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의석의 과반을 확보하고 있는 게 변수다. 민주당의 반발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일부 정책은 2024년 총선 이후로 미룰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한 총리와 추 부총리,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 등 야당과 관계가 좋은 여권 인사를 앞세우는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