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g version="1.1" xmlns="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x="0" y="0" viewBox="0 0 27.4 20" class="svg-quote" xml:space="preserve" style="fill:#666; display:block; width:28px; height:20px; margin-bottom:10px"><path class="st0" d="M0,12.9C0,0.2,12.4,0,12.4,0C6.7,3.2,7.8,6.2,7.5,8.5c2.8,0.4,5,2.9,5,5.9c0,3.6-2.9,5.7-5.9,5.7 C3.2,20,0,17.4,0,12.9z M14.8,12.9C14.8,0.2,27.2,0,27.2,0c-5.7,3.2-4.6,6.2-4.8,8.5c2.8,0.4,5,2.9,5,5.9c0,3.6-2.9,5.7-5.9,5.7 C18,20,14.8,17.4,14.8,12.9z"></path></svg>'책X책'은 같은 주제를 다룬 다른 책, 저자·출판사 등은 달라도 곁들여 읽으면 좋을 책들을 소개합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215978.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215933.1.jpg)
그럼 둘째 딸은?
"차녀들이여, 이제 우리가 마이크를 쥘 차례다." 이진송 작가가 최근 출간한 <차녀 힙합>(문학동네) 띠지에 적힌 문구다.
이 책은 둘째 딸의 입장에서 가족의 역학 관계와 사회적 맥락을 들여다보는 책이다. '전국둘째연합회장'을 자처한 이 작가는 1988년 3녀 1남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또 딸' 취급을 받았다. 친척들은 사촌을 데려다가 양자 삼으라는 소리도 무람없이 했다. 약 30년이 지났을 뿐인데 이제는 '딸 바보' 열풍이다. "무슨 일이 있었을까? 그사이에 태어난 무수한 딸들의 이야기가 나는 늘 궁금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1.30215905.1.jpg)
"당신에겐 돌 사진이 있습니까?" 물으며 시작한 책은 계간지 <계간홀로: 연애하지 않을 자유>를 발간하며 '정상 가족' 너머를 상상하는 이야기까지 뻗어간다.
책 말미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결국 저는 이런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어떤 어린 시절을 보냈든 우리는 다 자랐고, 여기서부터의 삶은 '내가' 결정하고 바꿀 수 있다고요. 나로는 충분하지 않을까봐 마음 졸였던 모든 딸들이 이제 자기 자신을 더 좋은 곳으로 데려가길."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