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07.14213012.1.jpg)
최근의 보유세 급등은 집값이 오른 때문만은 아니다. 이전 문재인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라는 명분을 앞세워 집값 급등기에 공시가격을 더 높인 게 화(禍)를 불렀다. 시장 안정책이라기보다 집주인에 대한 징벌에 가까웠고, 그 의도가 짙었다는 점에서 폭탄으로 인식될 만하다. 자기 집 한 채도 못 갖게 하는 세금 제도가 어떤 정당성을 얻을까 싶다. 당초 명분인 시장 안정에도 얼마나 기여했는지 의문이다.
고가 주택만 그런 것도 아니다. 서울 강북의 한 아파트(전용 84㎡)는 작년 공시가격이 7억원대 초반으로, 보유세를 190만원가량 내야 했다. 불과 2~3년 전 100만원이 안 되던 재산세가 훌쩍 뛰어버린 것이다. ‘세금 폭탄’ 담론은 보유세 강화가 부유층뿐 아니라 중산층 이하에도 경제적 고통을 안길 것이란 주장이 핵심인데, 이런 논리가 틀렸다고 말하기 어렵다.
세제 강화를 보수 측에선 세금 폭탄, 세제 완화를 진보 쪽에선 부자 감세로 맞받아친 게 어제오늘 얘기는 아니다. 노무현 정부 때부터 시작됐으니 거의 20년 역사다. 세금 담론 싸움은 선거철이 되면 항상 소환됐다. 하지만 지금 상황을 부자 감세로 몰아가는 것은 과하기도 하고, 진영논리 그 이상도 아니다. 더불어민주당도 이번 지방선거를 앞두고 보유세 완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일부 완화 등 부동산 세부담 완화책을 제시한 바 있다.
좌파 진영에선 지방선거 패인으로 민주당의 ‘오락가락’ 정책을 꼽는다. 그중 대표적인 게 보유세 완화책이다. 하지만 과연 이 문제에서 오락가락해서 패배한 걸까. 거꾸로 표심(票心)을 다지는 데 도움을 줬을 수 있다. 부자 감세 주장의 재등장엔 다분히 정치적 의도가 끼어 있음을 의심하게 한다.
고(高)물가를 이겨내더라도 이후 저성장과 경기침체를 맞을 수 있다는 한국은행 총재의 경고가 나온 마당이다. 감세로 기업과 가계의 활력을 높이는 것 말고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 속 경기침체)에 대처하는 법이 따로 있을 리 없다. 정부가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상속세 인하 방침까지 밝히는 배경이다. 이를 케케묵은 부자 감세론에 갇혀 비판만 할 일인가 싶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