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때도 '우리가 비판할 건 비판해야지’ 하다가 이명박 정권에 희생당했다는 트라우마가 있었다. 그래서 문재인 정부는 잘못해도 끝까지 우리가 보호하자는 게 있었다."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6·1 지방선거 참패 이유에 대해 "문재인 전 대통령만 믿다가, 결국 국민으로부터 멀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지난 6일 방송된 JTBC ‘썰전 라이브’에 출연해 "친문의 잘못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문재인 대통령이 알아서 하겠지. 이렇게 안이한 생각을 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예를 들면 최저임금이라든가, 부동산 문제를 적극적으로 문제제기하고 비판했어야 했다. 그런 문제들에 있어서 친문 의원들이 더 역할을 했었어야 했는데 소극적이었다"면서 "문재인 대통령만 믿고, 문 대통령이 알아서 하겠지 이런 안이한 생각을 하고 있다가 국민에게서 멀어지게 된 거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처음 최저임금 10%씩 올릴 때, 제가 기재위(기획재정위원회)에 있었다. 그때 이건 좀 무리라는 생각을 했었다"면서 "사실 이게 당정 협의가 제대로 안 되고 정부 주도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아침 7시 30분에 당정 협의를 했는데, 오전 11시에 (최저임금 확정) 기자회견을 했다. 그래서 제가 비공식적으로 불만을 이야기했다"면서 "‘이건 적어도 최소한 일주일 전에는 당정 협의를 하든지, 한 달 전에 논의해서 당의 의견이 반영된 다음에 발표해야지 뭐냐’고. 그런데 그게 지금까지 우리 정치의 관행이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적극적으로 문재인 정부의 잘못을 지적하지 못한 이유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타계 트라우마'를 꼽았다.
그는 "문재인 정부는 잘못해도 끝까지 보호하려는 생각이 있었다"면서 "사실 그게 문 정부에 부담이 되거나,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저는 했었다. 친문 의원들이 정권의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했지만 소홀했다"고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
이어 친이(친이재명)계를 향해 "어떤 한 사람의 지도자가 당을 끌고 가거나 당을 구원한다는 것이 ‘메시아 민주주의’"라며 "이 메시아 민주주의 시대는 이제 지났다. 여러 계파가 자리다툼하고 분배하는 방식이 아니라 탈계파, 초계파적인 통합 지도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