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전국 시멘트 출하량은 1만5500t에 그쳤다. 총파업 전 하루 평균 시멘트 출하량은 18만t 수준이었다. 시멘트 출하량이 평소의 8.61% 수준으로 급감한 것이다. 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이대로라면 9일 이후엔 사실상 시멘트 출하가 어려워 레미콘업체들이 1~2일 내 생산을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요가 몰리는 수도권에선 이미 일부 레미콘업체들이 시멘트 재고를 소진해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레미콘은 골조 공사의 핵심 자재다. 수급에 차질이 생기면 공사 현장이 중단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건설사들은 이날 전국 각지의 공사 현장을 긴급 점검했다.
건설사 관계자는 “급한 대로 다른 공정부터 진행할 수는 있지만 콘크리트 타설 등 주요 작업을 무작정 미루기는 어렵다”며 “총파업이 장기화하면 건설 현장에 큰 혼란이 올 수밖에 없어 답답한 심정”이라고 했다.
이미 올 들어 주택 착공 실적은 빠르게 줄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철근·시멘트 등 건설자재 가격이 급등해 건설사들의 공사비 부담이 커진 탓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4월까지 주택 착공 실적은 전국 11만8525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7만4287가구)에 비해 32% 감소했다.
건설사들이 정부의 분양가상한제 개편을 기대하며 분양 일정을 미루는 상황에서 파업 악재까지 터져 공급 일정을 가늠하기가 한층 어려워졌다. 정비업계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착공하고서도 일반 분양을 미루고 있는 재건축·재개발 물량만 1만 가구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건설사 관계자는 “장마철을 앞두고 각 공사 현장에서 작업을 서두르고 있는데 이른 시일 내 총파업이 해결되지 않으면 올 하반기 이후 예정된 각종 정비사업이나 분양 일정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주무부처인 국토부의 미온적인 대처가 사태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어명소 국토부 제2차관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대화의 문은 언제든 열려 있다”면서도 총파업의 원인이 된 안전운임제 유지·확대 시행과 관련해선 국회 입법 사안이라는 점만 강조했다. 어 차관은 “궁극적으로 법률 개정 사안이라 국회에서 논의돼서 결정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