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통한 개인용 자동차보험 가입이 급증하고 있으며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용 자동차보험의 인터넷·온라인(CM채널)을 통한 가입 비중(차량 수 기준)은 40.7%로 설계사의 직접 영업을 통한 대면채널 가입비중(39.9%)보다 0.8%포인트 높았다. 전화영업(TM) 채널의 점유율은 19.4%에 그쳤다.
2017년까지만 해도 개인용 자동차보험 가입 대면 채널의 비중이 51%, TM채널이 24.6%였고, CM채널은 24.4%에 불과했다. 4년만에 대면 비중이 11.1%포인트 줄었고, TM채널은 5.2%포인트 감소한 대신 이른바 '다이렉트 보험' 가입률이 16.3%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연령별로 개인용 자동차보험의 CM채널 가입률을 살펴보면 30대가 61.8%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57.4%, 40대가 48.2% 순으로 나타났다. 50대의 온라인 가입률은 29.7%, 60대는 26.9%, 70세 이상은 22.6%에 그쳤다.
보험개발원은 CM채널에선 자동차보험 설계에 필요한 차량 정보 입력 절차가 대폭 생략돼 편의성이 높아 인터넷 활용에 익숙한 20~40대의 충성도가 매우 높다고 분석했다. 대면 채널에서 차보험에 가입하려면 차량 제작사, 차종 및 모델명, 연식 등을 입력해야하지만, 온라인을 통하면 차량정보통합서비스를 통해 번호판 입력만으로 이런 절차가 완료된다.
플랫폼에 강점을 가진 카카오계열의 카카오페이손해보험과 간편보험 시장 진출을 꾀하는 하나손보, 신한손보 등이 공격적으로 시장에 뛰어든다면 자동차보험 업계의 '비대면 전환'이 더욱 가속화할 가능성도 높다는 분석이다. 손해보험업계 관계자는 “모바일, 인터넷 활용에 익숙한 20~30대가 경제활동의 주류로 떠오르는 10년여 후가 되면 대면 채널을 통한 차보험 가입은 사실상 자취를 감출 것”이라며 “테슬라처럼 차량 품질 보증과 차보험을 합친 형태의 제조사 보험영업도 본격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험개발원은 “인터넷으로 보험에 가입할 때엔 설계사 없이 소비자가 스스로 보장 내용을 설계해야 하므로 보장 범위 및 특약 사항을 세심하게 점검하는 게 중요하다”며 “마일리지나 블랙박스 등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는 특약을 가장 챙겨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