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외국인 투자자가 중국 채권을 넉 달 연속 순매도했다. 2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중국 당국은 인프라 투자를 대폭 늘리고 민간기업 투자를 독려하는 등 경기 부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7일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과 중국채권정보 등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중국 채권을 1100억위안어치 순매도했다. 5월 말 기준 외국인의 중국 채권 보유액은 총 3조3569억위안으로 집계됐다. 국채가 2조3754억위안으로 가장 많고 정책은행 채권이 8899억위안으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의 중국 채권 매도세는 지난 2월부터 시작됐다. 2월 803억위안, 3월 1125억위안, 4월 1085억위안, 5월 1100억위안 등 넉 달 누적 순매도는 4111억위안(약 80조원)에 달한다. 이런 매도세는 2018년 1월 중국 채권시장에 외국인 직접 참여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이전에는 외국인이 중국 채권을 두 달 연속 순매도한 적도 없었다.
외국인 자금 유출의 직접적 원인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올들어 이달까지 기준금리를 3회 올렸고, 연 1.5~1.75%인 금리가 올 연말 연 3% 이상이 되도록 계속 인상할 예정이다. 중국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는 1년물이 연 3.7%, 5년물이 연 4.45%다. 미국과 중국 간 금리 차이가 줄어들자 글로벌 투자자들이 중국에 투자했던 자금을 빼고 있다.
중국의 경기 침체도 외국인의 위안화 자산 매각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힌다. 중국에선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진단이 나오지만 외국인 자금 유출을 가속할 수 있다는 우려에 당국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인민은행은 지난 15일 정책금리인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동결하면서 오는 20일께 발표할 LPR도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것이란 관측이 유력해졌다.
경제·금융 중심도시인 상하이가 지난달 말까지 두 달 봉쇄하면서 중국 경제 전반에 큰 충격을 가한 데 이어 수도 베이징도 준봉쇄를 유지하면서 부담을 키우고 있다. 베이징의 1~5월 누적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2.5% 감소해 전국 산업생산이 3.3% 증가한 것과 큰 차이를 보인다.
중국 거시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5월에 10건, 총 1210억위안 규모의 인프라 투자를 승인했다고 전날 발표했다. 액수가 4월에 비해 6배 커졌다. 발개위에 따르면 올 1~5월 누적 인프라 투자 승인은 48건, 6542억위안으로 지난해 전체인 7754억위안의 80%를 넘는다.
발개위는 또 민간기업에 세제 혜택 등을 제공하겠다며 투자 확대를 촉구했다. 지난 15일 행정부인 국무원이 민간기업의 역할을 강조한 데 이어 연일 민간기업을 압박하고 나섰다. 중국 정부는 감세 조치로 세입은 줄고 방역 통제에 지출이 늘어 재정이 악화하고 있다.
올 1~5월 누적 민간투자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4.1% 증가했지만, 1~4월 5.3% 증가보다 부진해졌다. 1~5월 전체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6.2%도 밑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