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아기 새 떼죽음…바다 수온 상승·폭염 등 이상기후 원인

입력 2022-06-17 20:32   수정 2022-07-14 00:03


지구촌 곳곳에서 기승을 부리는 폭염 탓에 동물들이 떼죽음으로 내몰리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과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은 지난 5월께부터 남반구 뉴질랜드에서 쇠푸른펭귄이 떼로 죽은 채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부 해안으로 떠밀려 들어온 크기 30~35㎝의 쇠푸른펭귄 사체는 최근 몇 주 동안 수백구에 이른다.

그레이엄 테일러 뉴질랜드 자연보호부(DOC) 수석과학고문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초기 분석 결과를 보면 펭귄들이 바다에서 충분한 먹이를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사망 원인을 아사로 추정했다.

그러면서 "라니냐 영향에 따른 뉴질랜드 북부 해역 수온 상승 때문에 크릴, 멸치, 정어리 같은 먹이를 찾기 힘들어졌다"고 덧붙였다.

뉴질랜드 국립수상대기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이곳의 연평균 기온은 평년보다 0.5~1.2도 높았다.

떼죽음을 맞은 펭귄을 부검한 결과 복부 지방 비중이 크게 줄었고, 해안으로 떠밀려오기 전 영양실조 상태였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CNN은 전했다.

북반구에서는 더 작은 새들이 폭염에 죽음을 맞았다.

스페인 남부 세비야와 코르도바에서는 수백마리의 새끼 칼새가 도심 길바닥에서 죽은 채 발견됐다. 최근 이곳의 한낮 수은주는 42도까지 치솟았다.

지역 환경 전문가들은 "칼새들은 고층 건물 틈이나 지붕 구멍에 둥지를 틀고 부화하는데, 폭염으로 건물 콘크리트나 금속판이 '오븐'처럼 뜨겁게 달궈지면서 새가 죽었다"고 분석했다.

아직 날지 못하는 새끼 새가 뜨거운 내부 온도를 견디지 못해 뛰쳐나오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 같은 이상기후는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의 목숨도 앗아갈 수 있다.

WHO에 따르면 1970~2019년 기후 문제로 사망한 200만명 중 폭염 사망자는 18만5000명이다. 이중 절반은 최근인 2010~2019년 숨졌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