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AA.30377312.1.jpg)
메메트 파티흐 카즐 터키 산업기술부 차관(사진)은 지난 13일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스타트업의 성장을 위해 노력하겠지만, 인센티브를 주는 선에서 더 나아가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터키는 뒤늦게 스타트업 육성에 뛰어들었다. 2019년 9월 산업기술전략 4개년 계획을 발표할 당시만 해도 터키에는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 기업)이 단 한 개도 없었다. 하지만 2년여 만에 상황이 바뀌었다. 게임 기업 피크게임즈, 배달 기업 게티르 등 6개의 유니콘 기업이 생겼다. 터키 정부의 목표는 2023년까지 10개의 유니콘 기업을 만드는 것이다.
터키 정부의 전략은 ‘확실하게 지원하고 나머지는 기업에 맡긴다’로 요약된다. 사업 아이디어만으로도 고용 직원의 소득세가 면세되는 등 다양한 투자인센티브가 주어지는 테크노파크(터키의 기술개발특구)에 입주할 수 있다. 테크노파크 입주는 기업들에 일종의 ‘공증’이 된다. 기술력과 사업성을 정부에 입증받았다는 증표가 돼 사업을 보다 쉽게 확장할 수 있다.
터키 전역에 있는 테크노파크를 지역 대학과 연계해 기업이 필요한 인력도 빠르게 조달할 수 있도록 했다. 외국인과 내국인 사이 법 적용의 차별도 없다. 모두가 동등하게 터키 정부가 제공하는 인센티브를 누릴 수 있다.
정부 지원으로 20년 전 단 5개밖에 없었던 테크노파크는 올해 92개까지 늘어났다. 7400여 개 기업이 테크노파크에 입주해 있다. 아직 테크노파크에서 유니콘 기업은 탄생하지 못했지만, 지난해 터키 스타트업 중 가장 큰 금액(1200만달러)을 투자받은 회사가 나왔다. 항암제를 생산하는 바이오 스타트업 RS리서치다. 카즐 차관은 “기업들이 경제 성장의 동력이라는 것은 전 세계가 다 아는 사실”이라며 “정부 역할은 기업이 문제에 직면하면 풀어주고 사업을 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터키 이스탄불=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