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타임스(FT)는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동남아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물가상승률을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물가상승률을 압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FT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미국 중앙은행(Fed) 등의 긴축 드라이브로 인해 세계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져들 것이란 경고음이 곳곳에서 울리고 있다”면서도 “동남아 국가들은 이 사이클에서 크게 벗어나 있다”고 진단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베트남은 지난 3월 GDP가 전년 동월에 비해 5%가량씩 증가했다. 같은 기간 2%대를 기록한 물가상승률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3월 GDP 증가폭이 8.3%에 달한 필리핀의 경우 물가상승률은 4%에 그쳤다. FT는 “팬데믹(전염병의 대유행) 기간에 심각하게 후퇴했던 경기가 반등하는 ‘기저효과’가 반영된 측면도 있지만 동남아는 자체적인 성장 모멘텀을 갖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동남아의 성장 요인으로는 △역내 관광산업 부활 △개전 이후 식료품·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제조업체들의 탈(脫)중국으로 인한 반사이익 등을 꼽았다. 세계적인 식용유 품귀 사태는 국제 팜유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 대형 호재로 작용했다.
미국과 유럽 등지의 제조사들은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동남아로 이전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지역을 완전 봉쇄하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장기간 고수하고 있는 중국에서 기업 활동이 어려워졌다는 판단에서다. 이달 초 애플은 중국에 있는 아이패드 생산공장 일부를 베트남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권위주의 성향의 동남아 정부가 언제든 가격 통제 카드를 꺼내들 수 있는 것도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낮추는 요인이다. 최근 차기 필리핀 대통령에 당선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대선 기간에 “곡물값 상한제를 도입해 쌀 가격을 낮추겠다”고 공약했다. 호주뉴질랜드은행(ANZ) 관계자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가 휘발유 가격을 통제하는 등 동남아에서는 가격 통제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