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6/AA.30441872.1.jpg)
지난해 SK이노베이션과 SK하이닉스는 각각 9489억원, 9527억원의 환경 손실을 기록했다. 공정 부문 손실액이 각각 1조2589억원과 9690억원에 달했지만,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 부문의 선전에 힘입어 손실의 일부를 메웠다.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부문에서 두 회사가 기록한 SV는 각각 3099억원과 162억원이었다. SK그룹 관계자는 “SK이노베이션과 SK하이닉스의 지난해 매출은 2020년에 비해 30% 넘게 늘었지만, 환경 손실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SK케미칼의 성적표는 한층 더 극적이다. 2020년 -70억원이던 환경 성과가 지난해 118억원을 기록하며 흑자로 전환했다.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 부문에서 기록한 SV가 526억원에 달해 공정 부문 손실액(408억원)을 넘어섰다.
SK 계열사들은 탄소 배출이 많은 비즈니스를 최소화하고 친환경 신제품의 종류를 다양화하는 등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부문의 SV를 올리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공정 부문 지표는 공장 가동률을 인위적으로 떨어뜨리지 않는 한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저전력 낸드플래시 8개를 개발해 전력 저감 93억원과 온실가스 저감 43억원의 효과를 냈다. SK이노베이션 역시 친환경 윤활기유와 발포제 등을 적극적으로 판매하는 방법으로 환경 성과를 방어했다. SK케미칼은 플라스틱 신소재 코폴리에스테르 덕을 톡톡히 봤다.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BPA)가 검출되지 않으면서도 열과 습기에 강한 것이 이 소재의 특징이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