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관련 발언 못지않게 눈길을 끈 것은 재계와 학계의 민간 전문가 9명을 초대한 대목이다. 초청받은 권오현 삼성전자 고문, 이수만 SM 총괄프로듀서,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 하정우 네이버 연구소장 등은 초격차 전략, 국가 연구개발(R&D), 중소·벤처기업 혁신 등을 주제로 활발히 의견을 개진했다. 산학협력·사회복지·교육 전문가도 참석해 성장동력 회복, 성장·복지 선순환, 미래 인재 양성 및 문화 융성 방안을 놓고 토론했다. 노무현 정부 때 국가재정전략회의가 연례행사로 도입된 이래 민간인 전문가가 이처럼 대거 참여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에서 밝힌 대로 ‘민간중심 역동경제’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으로 평가해줄 만하다.
문 정부 때 청와대 영빈관을 선택한 것과 달리 충북대로 내려가 회의를 연 것도 적잖은 메시지를 던졌다. “지역 균형발전과 인재 양성이 새 정부의 핵심 아젠다”라는 게 대통령 설명이다. 이제 중요한 건 의지와 실행력이다. 윤 대통령이 모두발언에서 천명한 대로 국가의 미래 먹거리와 성장동력 발굴 및 인재 양성에 과감한 행보가 뒤따라야 한다. R&D 예타 대상 사업 규모 확대나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세제 지원 같은 민간 요청에도 적극 호응해야 할 것이다.
아쉬운 점도 있다. 대통령은 병사 봉급 인상을 차질없이 이행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현재 재정 여건상 현실에 맞게 재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정 긴축에 반대하는 이익집단의 거센 저항에도 대처해야 한다. 민주노총, 참여연대, 민변 등 10여 개 노동시민사회단체는 국가재정전략회의 개최일에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은 확장적 재정 운용이 필요한 때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5년 나라 살림살이의 밑그림을 그리는 자리에서의 ‘건전 재정’ 다짐을 임기 마지막 순간까지 유지하기를 기대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