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30654971.1.jpg)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등 문재인 정부에서 단시간에 강화된 노동규제로 인해 해외 자회사를 둔 국내 기업이 3만5000개가 넘는 일자리를 중국, 동남아시아 등으로 옮겼다는 연구 결과가 세계은행(WB)을 통해 나왔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따라 추진된 노동규제가 국내 일자리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심층적인 실증 연구가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에 포함된 상용종사자 50인 이상·자본금 3억원 이상 국내 제조기업 중 해외 자회사를 한 개 이상 보유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고용 변화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해외 자회사를 둔 제조기업은 국내 고용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이후 연평균 3%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에는 전년 대비 2% 고용이 줄어든 데 이어 2018년 4.5%, 2019년 5.3%로 각각 감소했다.
반면 해외 자회사가 없는 순수 국내 제조기업의 고용 수준은 이 기간 거의 같았다. 보고서는 “2016년까지 두 그룹의 기업 간 고용 차이는 통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고용 감소가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본격화된 2017년 이후 두드러졌다고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30654911.1.jpg)
이번 연구는 해외 계열사를 보유한 국내 제조기업의 고용이 최저임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타격을 입었다는 걸 실증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소득 증가→소비 증가→고용 확대’라는 문재인 정부 소득주도성장의 기본 가정과는 배치되는 연구다. 보고서는 “글로벌 가치 사슬(GVC) 시대에 해외 자회사가 있는 기업은 최저임금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며 “기업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 업무를 인건비가 더 싼 나라의 계열사에 재배치할 수 있고, 이는 국내 고용에 부작용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30654970.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30654969.1.jpg)
안 교수는 “통계청 기업활동조사가 기업의 이름을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일자리를 옮긴 기업을 특정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삼성전자·현대차 등 대기업뿐 아니라 해외법인이 1개 이상 있는 대부분의 중견·중소기업도 해당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성훈 WB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현지에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세미나도 여러 번 진행했다”며 “보고서가 외부 요인과 같은 다른 가능성에 대한 반론에 대해서도 충실히 다뤘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전했다. 최재림 하와이주립대 교수는 “노동시장 규제 강화가 실제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지표에 직접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후속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