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상가 낙찰가율은 120.6%로 집계됐다. 지난 5월(90.4%)보다 30.2%포인트 뛰었다. 낙찰가율은 올랐지만 낙찰률(경매 건수 대비 낙찰 건수 비율)은 같은 기간 40.3%에서 25.8%로 줄었다. 모든 상가에 대한 낙찰가율이 높은 건 아니다. 낙찰률을 보면 100개의 상가 중 25개 상가만 응찰자의 선택을 받았기 때문이다.
올 들어 코로나19 엔데믹(전염병의 풍토병화) 기대감에 서울 상가 낙찰가율은 2월 64.7%에서 3월 117.9%, 4월 126.3% 등으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
지난달 22일 매각된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점프밀라노 지하 2층 상가(전용면적 4.96㎡)는 감정가(5700만원)의 264%인 1억5000여만원에 팔렸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유동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집합상가임에도 감정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각됐다.
양천구 신정동 목동신시가지의 한 아파트 상가도 3억5600만원인 감정가를 훌쩍 뛰어넘는 6억1700여만원에 매각됐다. 낙찰가율은 173.4%였고, 응찰자 수도 17명에 달했다. 지난 12일 매각된 도봉구 창동 삼성아파트 지하상가 역시 감정가(1630만원)의 166.3%인 2710여만원에 낙찰됐다. 응찰자 수는 5명이었다.
지난달 21일 마포구 아현동의 한 주상복합아파트 지하 1층 상가(전용 41㎡)는 감정가 4억2900만원보다 63.3% 높은 7억여원에 매각됐다. 응찰자가 한 명이었음에도 공실이 아니고 임차 계약이 유지된 상가라는 점 때문에 높은 가격에 팔린 것으로 추정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AA.30729056.1.jpg)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