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오랜만에 시나리오 세계 경제 전망이 나왔다. IMF는 7월 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 4월 제시한 3.6%에서 3.2%로 내려 잡은 가운데 최악의 시나리오가 전개되면 2.6%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비관 시나리오를 발표하면 으레 나오는 낙관 시나리오는 내놓지 않았다.
경제변수는 예측(관리) 가능 여부에 따라 ‘통제변수’와 ‘행태변수’로 나뉜다. 7월 전망처럼 시나리오 전망은 전자보다 후자가 많을 때 제시한다. 하반기 이후 예상되는 행태변수의 실체도 낙관 시나리오를 제시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지난 상반기 못지않게 불확실한 변수가 많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경제권역별로는 신흥국 성장률을 선진국보다 덜 낮췄다. IMF는 올해 성장률을 4월 전망 대비 선진국은 0.8%포인트, 신흥국은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세계은행을 비롯한 다른 예측기관도 비슷한 폭으로 조정한 가운데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투자 관점에서 신흥국이 유망하다는 견해까지 내놨다.
선진국 대비 신흥국 성장률 하향 조정폭이 작다는 것은 하반기 이후에도 공급 관련 요인이 쉽게 풀리지 않을 것이라는 근거에서다. 대부분 신흥국은 부존 자원국인 데다 1990년대 이후 급격히 진행돼온 글로벌 추세에 따라 의식주 관련 주생산국이다. 20년 전 브릭스에 대비해 ‘뉴브릭스’가 떠오를 것이라는 시각도 눈에 들어온다.
셋째, 국가별로는 경제패권을 다투는 미국과 중국의 성장 경로가 확연하게 차이 날 것이라는 점이다. 올해 미국 경제 성장률은 3.7%(4월)에서 2.3%로 무려 1.4%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내년 성장률은 1%로 낮췄다. Fed가 추정한 잠재성장률이 1.75%인 점을 감안하면 0.75%포인트의 디플레갭이 발생해 경기 침체의 골이 더 깊어진다는 의미다.
중국 경제는 올해 성장률이 3.3%로 낮아지겠지만 내년에는 4.6%까지 회복돼 미국 경제와 정반대의 길을 걸을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10월 공산당 대회를 앞두고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모색할 가능성이 있어 내년 성장률은 목표치인 5.5%에 도달할 수 있다는 예상도 조심스럽게 내놨다.
넷째, 최대 현안인 인플레이션이 올해 3분기를 정점으로 꺾일 것으로 예상한 점은 각국 중앙은행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미국은 이미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9.1%를 기록한 이후 인플레 정점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하지만 공급 측 인플레 요인의 개선 속도가 빠르지 않아 세계 인플레가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려면 2024년 말은 돼야 가능할 것으로 봤다.
세계 인플레가 올해 3분기를 정점으로 안정된다면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속도는 둔화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3월 회의 이후 숨 가쁘게 금리를 올려온 Fed는 7월 0.75%포인트 인상을 고비로 9월 회의 때는 0.5%포인트 인상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내년 성장률이 1%로 낮아진다면 금리 인상보다 금리 인하가 불가피하다는 시각까지 나온다.
다섯째, 지난해 10월 전망 이전까지 회원국에 ‘재정폭주열차’가 돼줄 것을 주문한 IMF가 7월 전망에서는 ‘재정준칙’을 강조한 점도 주목된다. 세계 국내총생산(GDP)에 대비한 세계 총부채가 260%에 이를 만큼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 인플레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다간 디폴트에 빠질 회원국이 급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국가부채 관리와 경기 부양을 동시에 추진하는 방안으로 ‘페이고’와 같은 제3의 정책을 제시했다. 페이고란 재정지출 총량은 늘리지 않고 부양효과가 작은 일반 경직성 경비 세목은 줄이고(pay) 부양효과가 큰 투자성 세목은 늘려(go) 경기를 회복시키는 방안을 말한다. 같은 고민에 빠져 있는 새 정부가 참고해야 할 대목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