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0803645.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0804752.1.jpg)
박 부총리는 앞서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해마다 1개월씩 12년에 걸쳐 입학을 앞당기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며 “미국 등 해외 국가들처럼 초등학교에 유치부(K) 과정을 추가하는 방안, 초·중등 교육 과정을 12년에서 13년으로 늘리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조기 입학으로 동급생이 많아져 입시와 취업에서 과도한 경쟁이 벌어질 것이란 우려에는 “학령인구 급감으로 2018년생이 더 줄어들어 2025년 입학 시 학급당 인원이 늘어나지 않는다”며 “과도한 경쟁은 걱정할 상황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범국민연대는 “초등학교 취학 연령을 만 5세로 낮추려는 윤석열 정부의 정책은 우리 아이들의 삶과 성장에 큰 상처를 주고, 영유아기부터 경쟁 교육으로 내몰며 영유아교육·보육체계를 붕괴시킬 것”이라며 “초등학교 교실 현장에 혼란을 초래하는 잘못된 정책을 즉각 철회해 더 이상 혼란을 야기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원 95%가 만 5세 초등학교 입학에 반대한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이날 학제개편안에 대해 전국 유·초·중·고 교원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1만662명 중 94.7%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찬성한다는 의견은 5.3%에 그쳤다.
유아 학부모들이 모이는 인터넷 맘카페와 단톡방에서는 결사반대를 외치는 글이 끊임없이 올라오고 있다. 경기 안양의 맞벌이 부모 김모씨(38)는 “유치원보다 초등학교의 하교 시간이 더 빨라 맞벌이 부부의 육아 부담이 오히려 더 늘어날 것”이라며 “카페에선 촛불집회를 열어야 한다는 글도 올라오고 있다”고 말했다.
반발 여론이 확산하자 국무총리실도 진화에 나섰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박 부총리에게 “아이마다 발달 정도가 차이 나고 가정과 학교의 상황이 다르다는 점을 각별히 유념해야 한다”며 “국민이 불안해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30% 아래로 떨어진 상황에서 민감한 교육 정책 이슈를 잘못 건드렸다가 여론의 흐름이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