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대통령실과 내각의 1급 이상 고위직 등에 대한 인선은 대통령실 내 설치된 인사위원회에서 결정된다. 김대기 비서실장이 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이진복 정무수석, 복두규 인사기획관, 이원모 인사비서관, 담당 부처 수석비서관 등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새 정부 인사시스템이 과거 정부와 다른 가장 큰 특징은 인사수석직을 폐지하면서 검증과 사정 업무를 대통령실에서 떼어냈다는 점이다. 인사 추천 기능은 대통령실에 남기면서 검증 업무는 법무부 내 신설된 인사정보관리단에 맡겼다. 추천과 검증 기능을 분리해야 한다는 윤 대통령의 인사 철학을 따른 조치다.
하지만 이렇게 개편된 시스템이 당초 의도와 달리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검찰 출신 인사들이 인사 업무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우선 복 기획관과 이 비서관 등 인사위원회 핵심 멤버가 검찰 출신이다. 인사 검증 업무를 관할하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도 윤 대통령의 검찰 시절 측근이다. 대선 당시 인사에 관여했던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각각 당과 내각에 포진하면서 검찰 영향력이 더 커졌다. 여권 관계자는 “검찰에서 비슷한 경험을 공유한 식구들이 인사 추천과 검증을 대부분 맡다 보니 외부 여론과 비판에 소극적”이라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인사위원장인 김 실장에게 인사 업무의 상당한 재량권을 위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내 검찰 인사들을 견제하려는 목적이지만, 사회 곳곳에 포진한 인재를 두루 찾기 위한 취지도 있다. 하지만 김 실장도 경제부처 주요 보직 외엔 적극적인 의견을 내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