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계 빚이 급증하면서 우리나라 가계부채 수준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심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7일 발표한 '금융 불안정성, 장기균형선 넘고 있다'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코로나 위기(2020년 1분기~2022년 2분기) 이후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수준을 과거 경제 위기 때와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각 금융시장을 나타내는 지표를 선정해 표준화한 뒤, 코로나 위기의 변동성 수준을 외환위기(1997년 2분기~1999년 1분기), 금융위기(2007년 3분기~2009년 3분기) 때와 비교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계의 금융불균형 정도는 78.5로, 장기평균 수준(50.0)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불균형 정도인 75.4는 물론, 외환위기(52.5) 당시에 비해 높았다.
금융불균형이란 가계·기업의 신용(부채) 수준이 국내총생산(GDP) 등 실물경제 수준과 비교해 얼마나 과도하게 늘었는지를 의미한다. 가계의 금융불균형이 높아졌다는 것은 코로나 확산 이후 가계신용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크게 웃돌았다는 뜻이다.
특히 국내 가계 부채는 2019년 말 1601조원에서 올 1분기 1859조원으로 최근 2년새 258조원 증가했다. 가계 신용 증가율도 지난해보다는 다소 둔화됐지만 2019년에 비해선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반면 코로나 대유행 기간 기업의 금융 불균형 정도는 71.9로 외환위기(89.5)나 금융위기(76.3) 때보다 낮았다. 다만 장기평균 수준(50.0)을 크게 웃돌았고,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채권·주식 등 자산시장 변동성 수준은 외환·금융 위기 때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등 외환시장 변동성 수준은 56.1로 장기평균 수준(50.0)을 소폭 상회했지만, 외환위기(88.0)나 금융위기(74.0) 시기와 비교하면 안정적 수준이었다.
대외채무 수준도 양호한 상태로 분석됐다. 단기외채 대비 외환보유액으로 평가한 대외채무 수준은 43.6로, 장기평균 수준(50.0)은 물론 외환위기 때 수준(91.2)을 크게 밑돌았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코로나 대유행 영향으로 신용시장의 불균형이 특히 심화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정책당국이 가계·기업의 신용 증가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글로벌 통화 긴축으로 올 하반기와 내년에 경기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돼 민간신용이 과도하게 팽창하고 외환·주식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다"며 "금리 인상에 따른 신용 리스크 확대가 경기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