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오전 9시 전국위원회를 열고 당헌 개정안을 의결한다. 당대표와 권한대행뿐만 아니라 직무대행도 비대위원장을 임명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오후 2시에는 화상 의원총회에서 비대위원장을 추인한다. 비대위원장으로는 5선인 주호영 의원이 유력하다. 추인을 받으면 다시 전국위를 열어 권성동 원내대표가 주 의원을 비대위원장으로 임명한다.
이후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비대위원 구성까지 마친 뒤 이르면 12일부터 비대위 체제로 공식 전환된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는 즉시 기존의 최고위는 해산된다. 6개월 당원권 정지 징계로 부재중인 이 대표는 자동 해임된다.
국민의힘의 비대위 전환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석 달 만이다. 그 사이 여당 지도부는 두 번이나 바뀌었다. 지난달 11일 권성동 직무대행 체제에 들어선 뒤 약 한 달 만에 비대위 지도 체제로 전환이 이뤄지는 것이다.
하지만 비대위 전환 후에도 곳곳에 갈등의 불씨가 남아 있다. 이 대표 측이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을 예고하면서 비대위가 출범하자마자 정당성 논란에 휩싸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 대표 측 신인규 상근부대변인은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국위에서 비대위원장을 의결한 시점 이후에 신속하게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고 말했다.
유력 당권주자들은 이해관계에 따라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내년 초 전당대회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표면적으로는 여당의 전당대회가 윤석열 정부의 첫 정기국회와 시기가 겹쳐선 안 된다는 입장이지만, 내년 4월까지인 자신의 원내대표 임기 등 정치적 시간표와도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반면 유력 당권주자인 김기현 의원은 집권 여당이 비대위 체제를 장기화해서는 안 된다며 조기 전당대회를 주장하고 있다. 전당대회 시간표가 빨라진다면 시점은 10월 국정감사가 시작되기 전인 9월 말~10월 초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