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0879848.1.jpg)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조선업체 근로자 300명을 대상으로 한 ‘주 52시간제 전면 시행 1년 근로자 영향조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9일 밝혔다. 주 52시간제 도입 후 ‘임금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73.3%에 달했지만 ‘증가했다’는 답변은 1.7%에 불과했다. 감소액은 월평균 60만1000원이었다. 임금 감소에 따른 대응(복수 응답)으로 73.2%는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했다. ‘가족 구성원이 추가로 일하게 됐다’(22.3%)거나 ‘투잡을 뛴다’(21.8%)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소득이 줄면서 삶의 질도 크게 떨어졌다. 근로자의 절반 이상(55.0%)은 주 52시간제 도입 후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나빠졌다고 했다. 좋아졌다는 답변은 13.0%에 불과했다. 나빠진 이유(복수 응답)로는 93.3%가 ‘근로 시간 단축에 따른 임금 감소로 경제적 여유가 부족해져서’를 꼽았다. ‘소득 감소를 보전하기 위해 투잡 생활을 하느라 여가시간이 부족해졌다’는 반응도 35.8%에 달했다.
이태희 중기중앙회 스마트일자리 본부장은 “상당수 중소기업 근로자가 근로 시간 단축으로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리기보다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 12시간 연장근로 한도를 노사 합의 시 주간 단위에서 월 단위로 유연하게 바꾸는 정부 방침에 대해선 77.0%가 찬성 의견을 나타냈다. 이 본부장은 “정부도 월 단위 연장근로제 도입을 속도감있게 추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생산성을 높이지 않고 근로시간만 줄였더니 중소기업은 일감을 받지 못하고 근로자도 임금이 줄어드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며 “근로자의 건강권 못지 않게 ‘일할 자유’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