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최근 ‘2030년 공장 무인화’를 목표로 삼고 있는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섰다는 점을 감안, 100% 자동화된 공장이 가능한지를 테스트해보겠다는 취지다. 정부와 노조를 의식해 ‘무인’이란 표현을 쓰지는 않지만 다른 기업들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개 ‘디지털 전환(DX)’ 업무를 담당하는 팀이 인력 투입을 최소화한 미래의 생산기지에 관해 연구 중이다.
최근 들어 달라진 것은 대체할 수 있는 업무의 범위다. 요즘은 숙련된 엔지니어들도 일자리를 지키는 게 버겁다는 얘기가 들린다.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의 첨단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고도화하고 있는 영향이다. 전문가들은 기술 도입 비용이 조금 더 내려가면 본격적인 일자리 구조조정이 시작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일자리 수요를 둘러싼 또 다른 포인트는 지난해를 기점으로 급격히 치솟고 있는 인건비다. 최근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직원들의 임금 인상 요구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임금 인상의 진원지인 정보기술(IT) 업종은 이미 실적에 ‘빨간 불’이 들어왔다. 확 늘어난 인건비 부담이 이익 지표를 끌어내렸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지난해 직원 급여 총액은 각각 5615억원과 5177억원으로, 전년 대비 44.9%, 77% 증가했다. 올해는 여기에 인플레이션이라는 변수까지 추가됐다. 물가가 올라 실질 구매력이 떨어진 직원들이 연봉 추가 인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기술의 발전과 인플레이션, 공급망 패권 전쟁 같은 요인들은 고정변수로 봐야 한다. 정부와 기업이 인위적으로 흐름을 바꾸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일자리 절벽’의 충격을 줄일 수 있는 남은 수단은 ‘노동시장 유연화’ 정도다.
기업들이 상황과 경기 흐름에 맞춰 채용과 감원을 할 수 있어야 일자리 증발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두 가지뿐인 고용 형태를 산업계의 수요에 맞춰 다양화하고 ‘주 52시간 근로제’와 같은 노동 시간과 관련한 규제를 없애는 등의 노력도 필요하다. 여유가 있는 일상을 위해 하루 다섯 시간에 주 4일만 일하겠다는 욜로족과 빠른 은퇴를 목표로 주 6일 60시간 근무를 원하는 파이어족이 공존하는 곳. 그곳이 고용 절벽에 대처할 수 있는 이상적인 일터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