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0997236.1.jpg)
김명환 씨(26)는 작년 11월부터 삼성전자 경기 평택 제3공장(P3) 공사장에서 일용직 근로자로 일하고 있다. 원래는 경남 거제의 한 조선소에서 첫 일을 시작했지만 고된 업무와 낮은 일당에 1주일 만에 그만뒀다. 아내와 함께 출근한 지 꽤 됐다는 김씨는 “이곳에선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야근을 하면 하루 28만원 정도 일당을 받을 수 있다”며 “와이프와 합치면 월 1000만원은 넘게 번다”고 했다.
경기 평택의 삼성전자 평택사업장이 일용직 노동자의 ‘성지’로 떠오르고 있다. 전국 최고 수준의 일당에 5년 이상 출퇴근이 가능한 ‘장기 일용직’이 보장된 데다 안전관리가 잘된다는 점 등이 부각된 결과다. 삼성전자는 평택시 고덕면 일대 총 289만㎡(약 87만 평) 크기의 터에 세 번째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으며, 앞으로 5년 안에 3곳을 추가로 착공할 계획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0996413.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0997803.1.jpg)
일자리를 찾아 떠돌지 않아도 된다는 것 역시 큰 장점이다. 평택사업장은 올해 말 3공장을 완공한 뒤 이후 4~6공장 착공을 시작할 예정이다. 공장 한 기에 30조원이 투입되는 단군 이래 최대 공사다. 노조와 사측 간 갈등으로 종종 사업장이 폐쇄되는 조선소나 아파트 현장보다 안정적이다. 배관 기술자 정민규 씨(44)는 “조선소는 배 한 대를 만드는 기간인 6개월마다 일자리 공백이 수시로 생겼다”며 “평택공장은 10년치 일감이 꽉 차 있다는 얘기가 인부들 사이에서 나온다”고 말했다.
투자·인구 증가는 낙수효과로 이어지고 있다. 기업과 상인 등이 내는 세금이 늘었다. 평택시의 지방세 징수액은 2015년 7582억원에서 2020년 1조2247억원으로 61.5%(4665억원) 증가했다. 이 자금은 신도시 개발과 산업단지 조성 등에 쓰이고 있다. 현재 평택시에서 조성 중인 산업단지만 다섯 개에 달한다.
평택 경제는 ‘코로나발(發) 경기 침체를 완전히 비켜갔다’는 말이 나올 만큼 ‘초호황’을 누리고 있다. 지제동과 고덕신도시, 여염리 등의 상가엔 공실을 찾아보기 힘들다. 지제동 1층 상가 월세는 330㎡ 기준으로 권리금 4억원 안팎, 보증금 1억원, 월세 1000만원 정도까지 올랐다. 작년 이맘때보다 두세 배 뛰었지만, 이마저도 자리가 없다. 지제동 P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평택사업장 3공장의 인력 수요가 늘고 코로나19가 잠잠해지면서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며 “장사가 워낙 잘되기 때문에 가게를 누구에게 넘기는 것이 말이 안 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20㎡ 규모 원룸 역시 보증금 500만원에 월 80만~100만원으로 일 년 새 두 배 가까이 올랐다.
전문가들은 “본격적인 낙수효과는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평가를 내놓는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삼성전자와 거래하는 부품 업체들이 산업단지 등에 추가로 입주하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더 커질 것”이라며 “인구 유입 외에도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평택=김우섭/이광식/김대훈 기자 dute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