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1042967.1.jpg)
노두현 코넥티브 대표(사진)는 28일 “의료 현장도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다. 지난해 의료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코넥티브를 창업했다. 코넥티브는 관절 엑스레이 사진 판독을 도와주고 관절 수술 후 부작용을 예측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이다. 최근 카카오벤처스와 전문투자사 슈미트로부터 시드(설립 단계 투자)도 유치했다.
노 대표는 의료 현장이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비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매일 50명 넘는 환자에게 엑스레이 진단 결과를 일일이 설명하느라 시간에 쫓긴다”고 말했다. 코넥티브가 개발한 엑스레이 사진 판독 솔루션을 활용하면 기존 7~8분 걸리는 진료 시간이 3~4분으로 줄어든다.
노 대표의 ‘창업 DNA’는 대학 시절부터 꿈틀댔다. 의대 본과 4학년이던 2008년 의료 경영 동아리 MD위너스를 만들었다. 국내 의대 본과에 의료 경영 동아리가 생긴 건 처음이었다. 그는 “국내 의료계가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려면 예비 의사들이 단순히 의학적 지식을 아는 것을 넘어서 ‘숲’을 봐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10여 명의 학과 동기와 의기투합해 시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동아리는 15년째 이어지고 있다. 한 달에 한 번 의료 스타트업이나 벤처캐피털(VC)을 방문한다. AI나 주식 투자 등 특정 주제 전문가를 초빙해 세미나를 열기도 한다. 유전체 빅데이터 회사인 지놈인사이트의 유정석 부사장, 멘털케어 스타트업 포티파이의 문우리 대표가 MD위너스 출신이다.
노 대표는 수술 로봇 시장에도 뛰어들 계획이다. 현재 5% 수준인 로봇의 인공 관절 수술 비중이 10년 뒤엔 50%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그는 “애플이 신제품을 내놓을 때마다 세상이 깜짝 놀랐고 몇 년 뒤에는 그 제품들이 자연스럽게 일상에 스며들었다”며 “코넥티브는 ‘의료계의 애플’을 꿈꾼다”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