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8/AA.31054290.4.jpg)
호주가 처음부터 이민에 관대했던 것은 아니다. 1700년대 영국 식민지로 출발한 호주는 오랫동안 백인 중심 국가였다. 1901년엔 호주 연방의회가 이민제한법을 통과시켰다. 백인 이외, 특히 아시아계의 이민을 사실상 차단하는 법으로 ‘백호주의’의 근간을 이뤘다.
하지만 출산율이 1978년 1.95명으로 2명을 밑돌자 위기의식이 돌았다. 국제정치적으로 1970년대 유럽 국가들과 갈등도 발생했다. 호주 국민들은 아시아태평양의 일원으로 정체성을 새로 정립하고 이민을 적극 받아들이는 쪽으로 바꿨다. 백호주의가 1978년 막을 내린 배경이다.
호주 인구는 1970년 1200만 명대에서 2020년 2500만 명대로 올라섰다. 2022년 기준 호주의 총인구 대비 이민자 비중은 30%로 대표적인 다민족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힘입어 호주는 코로나19가 터지기 전까지 28년간 경제성장을 이어갔다.
투자이민은 만 55세 미만의 외국인이 최소 150만호주달러(약 14억원)를 호주 국채에 투자해야 한다. 여기엔 개인 자산(최소 225만호주달러) 증빙, 학력, 영어점수 등의 기타 조건도 따라붙는다. 기타 조건을 완화하려면 최소 투자금액을 500만호주달러로 대폭 늘리면 된다.
호주 정부는 2020년 3월 코로나19 봉쇄조치 여파로 인력난이 심각해지자 의사, 간호사, 엔지니어 등 18개 특정 기술 직종을 ‘우선 이민 기술명단’으로 만들어 입국 제한 면제 혜택군으로 지정했다. 그간 이민을 통해 노동인구를 늘려왔지만, 코로나19로 이민 유출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부터 다시 숙련 외국인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입국을 허용하기 시작했지만, 인력 공백을 메우기에는 모자란다는 분석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뉴사우스웨일스주 등 일부 주정부에서는 연방정부에 “미숙련 외국인력 도입을 위한 새로운 비자제도를 신설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프랑스는 이민을 적극 수용한 덕에 비교적 높은 출산율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기준 출산율은 1.8명가량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주민 여성들의 출산율이 2.6명에 이르기 때문이다. 프랑스는 1970년대 중반 저숙련 노동자 대신 가족 단위 이민을 받아들이는 쪽으로 정책을 선회했다.
김리안/오현우 기자 knr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