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지사는 31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도정 열린회의’에서 “지역화폐는 소상공인의 매출 증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해왔다”며 “정부가 내년 지역화폐 국비를 없앤 것은 대단히 유감”이라고 비판했다. 지역화폐는 전국 230여 개 지자체가 지역 내 소비를 늘리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종이 형태 혹은 전자화폐 형태로 구매 시 현금 이상의 지역화폐를 얹어주거나 가맹점에서 결제하면 일정 비율을 깎아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각 지자체는 지역화폐 가맹점에 매출 기준 등을 둬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될 수 있게 유도해왔다.
정부의 지역화폐 예산은 급감하고 있다. 작년 1조522억원이던 지역화폐 국비 예산은 올해 6050억원으로 줄었고, 내년엔 0원이 된다. 지자체의 지역화폐 인센티브 비용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절반 정도씩 냈다. 국비가 없어지면 평균 6% 수준인 지역화폐 인센티브 비율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게 지자체들의 설명이다. 인센티브가 없으면 소비자의 사용 유인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경기도가 가장 먼저 목소리를 높이고 나선 것은 도 산하 31개 시·군이 전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지역화폐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가 올해 계획한 지역화폐 발행액은 약 5조원으로 전국 발행 물량 17조5000억원의 28%에 달한다. 전국 지역화폐 발행액은 2018년 3000억원대에서 2020년 9조5642억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20조원을 돌파했다. 특히 최근엔 추석을 앞두고 전국 지자체들이 소상공인을 지원한다는 명목으로 할인율을 10%까지 높이기도 했다.
정부 지원 축소로 지역화폐 사업은 존폐 위기에 내몰릴 전망이다. 경기도 일부 지자체와 인천시 등은 이미 예산 부족으로 할인율을 축소했다. 인천·대전시에선 6·1 지방선거 이후 당선된 새 단체장이 지역화폐 축소를 예고하기도 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지역화폐의 주 사용처인 전통시장 등 지역 상권 소상공인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지역화폐 사업에 수천억원을 투자한 결제 플랫폼업계도 위기다. 지역화폐 운영은 신용카드 등 결제 플랫폼을 보유한 민간업체가 맡는다. 지자체가 사업 공고를 내면 민간 업체들이 입찰하는 방식이다. 운영 업체는 지역 화폐 사용 수수료로 이익을 얻는 구조다. 지역화폐 결제 플랫폼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는 코나아이는 지난 4년간 지역화폐 인프라 구축에 10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지난해 매출 1945억원의 절반을 지역화폐 사업에서 얻었다. KT는 울산, 세종, 칠곡 등 7개 지자체에서, 일부 지역은 지역 은행들이 운영을 맡고 있다.
국회 심의에서 예산이 부활할 가능성은 남아 있다. 김 지사는 “정부가 이번에 지역화폐 예산 과목조차 없애 국회 심의 과정에서 난항이 예상된다”며 “국회의원들이 지역화폐의 취지에 공감해 예산을 반영하도록 나서달라”고 말했다.
수원=김대훈/민경진 기자 daep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