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AA.31126567.4.jpg)
대손준비금은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은행들이 직접 산정해 쌓는 대손충당금 외에 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라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자금이다. 현행 은행업 감독규정엔 금융사고가 발생했을 때 특별 대손충당금 적립을 요구할 수 있다.
은행권 특별 대손준비금 적립은 올해 4분기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적립 기준은 은행이 부실채권을 털어내기 위해 충당금을 활용할 수 있는 비율(NPL 커버리지 비율) 대신 총여신 대비 대손충당금(대손준비금 포함) 적립률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금융권은 보고 있다. 현재 연체 기간이 3개월을 넘은 은행 부실채권 비율이 낮은 탓에 NPL 커버리지 비율을 기준으로 하면 특별 대손준비금 추가 적립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6월 말 기준 은행 부실채권 비율은 0.41%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 2분기 기준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국내 4대 은행의 평균 NPL 커버리지 비율은 217.5%로 집계됐다. 지금보다 두 배 이상 대출 연체가 발생하더라도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당국은 코로나19 금융 지원 탓에 아직 잠재부실이 드러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JP모간 뱅크오브아메리카 웰스파고 씨티 등 미국 4대 은행의 총여신 대비 대손충당금 적립률 평균치(1.50%)를 요구할 경우 은행당 추가 부담이 1조원을 웃돌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대손준비금은 회계상 배당 재원으로 쓰이는 이익잉여금에 반영돼 배당 여력을 제한한다. 한 금융지주사 재무담당 임원은 “상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한 만큼 올해 배당성향이 지난해 수준에 그치더라도 주당 배당금은 작년보다 오를 것”이라면서도 “대손준비금 확대를 ‘배당 축소 신호’로 받아들인 투자자가 이탈하는 게 가장 큰 걱정”이라고 했다.
은행의 이자이익을 좌우하는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차)가 축소된 점도 걱정거리다. 지난 7월 은행의 신규 예대금리차(1.28%)는 전달보다 0.21%포인트 줄었다. 대출금리는 0.31% 오른 반면 예·적금 등 수신금리는 0.52%나 뛰었기 때문이다. 은행 실적에 영향을 더 많이 미치는 잔액기준 예대금리차(2.38%)도 0.02%포인트 하락하며 지난해 7월 이후 1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