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02.26725254.1.jpg)
올 들어 보금자리론 이용자가 급감하고 있다. 금리 인상 여파에 주택 매수 시기를 늦추는 예비 수요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서울에서는 대출 기준인 6억원 이하 물건을 찾기도 쉽지 않아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AA.31244647.1.jpg)
낮은 금리로 최장 40년간 매달 안정적으로 원리금 상환이 가능해 신혼부부와 젊은 층, 자금이 넉넉지 않은 무주택자 등의 내집 마련을 돕는 주거 사다리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시장 침체로 거래절벽이 심화하면서 대출 수요가 급감하고 있다.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41건으로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는 현실과 맞지 않은 주택가격 기준이 걸림돌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보금자리론을 이용하기 위해선 대출승인일 기준 담보주택의 평가액이 6억원 이하여야 한다.
2017년 1월 정해진 가격 기준이다. 그해 서울 아파트의 중위 매매가격은 5억2316만원이었다. 보금자리론으로 중위가격대 아파트를 살 수 있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올 7월 중위가격은 9억6300만원으로 보금자리론 대출 기준을 훌쩍 뛰어넘는다. 당시에 비해 중위가격 집값이 84% 치솟으면서 서울에서 6억원대 이하 공공주택 비중은 크게 줄었다.
부부 합산 연소득 7000만원(신혼부부는 8500만원) 이하 조건 역시 2017년 1월부터 유지 중이다. 맞벌이 부부는 이 조건을 충족하기 어렵다. 통계청의 도시근로자 소득 통계를 살펴보면, 2022년 2분기 맞벌이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약 9302만원이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전 국민 대상 제도인 만큼 당장 대출 기준을 상향하기는 여의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지방에는 아직 6억원 이하 아파트가 많아 수도권에 맞춰 기준을 조정하기는 현실적으로 힘들 것”이라며 “특히 집값 안정을 도모하는 정책 기조 아래서는 실현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분석했다.
집값과 소득 수준 등 시장 상황과 대출 요건을 연동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장(경인여대 경영과 교수)은 “보금자리론 기준이 설정된 이후 시장 상황이 많이 변화됐기 때문에 무주택자가 실질적인 혜택을 볼 수 있도록 가격과 소득 기준 변경을 검토해볼 시점이 됐다”고 지적했다. 평균 주택가격을 반영해 지역별로 상한선 기준을 달리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제시됐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