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가 초래한 태풍·홍수…3D 시뮬레이션으로 대응책 마련

입력 2022-09-19 17:21   수정 2022-09-20 00:55

기상이변으로 인한 집중호우 같은 예기치 못한 자연재해는 3차원(3D) 모델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비책을 마련하는 게 상책이다. 재해의 원인과 범위 등을 파악하고 기반시설 같은 대응책을 미리 구축하는 방식이다.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업 이에이트는 입자 기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재해 예방 가능성을 한층 끌어올렸다. 김진현 이에이트 대표(사진)는 “주력 소프트웨어인 ‘엔플로우(NFLOW)’로 태풍, 산사태, 도심 침수 등을 예방하기 위한 복합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며 “중앙처리장치(CPU) 기반 시뮬레이션보다 효율이 크게 높은 ‘그래픽처리장치(GPU) 병렬 로드 밸런싱’을 독자 개발해 분석 속도를 크게 높였다”고 19일 밝혔다.

엔플로우는 이에이트가 2014년 선보인 입자 기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다. 입자를 분석 대상 공간에 흘려 넣는 방식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대규모 물리 현상을 분석하는 데 적합하다. 기존에 흔히 쓰이는 격자 방식의 시뮬레이션은 분석 대상을 격자로 촘촘하게 둘러싸야 하는 탓에 사용 범위가 자동차, 기계 등 산업 영역에 머물렀다.

엔플로우는 대규모 토목 공사에 특히 적합한 소프트웨어다. 댐이나 빗물 저류 배수시설 등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데 막대한 재정과 시간이 필요한 만큼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율적인 사업 계획 수립과 운영 최적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이트는 2017년 발생한 인천 해저터널 침수 사고의 원인이 인근 석유화학단지 등의 외부 빗물 유입을 고려하지 않은 설계 탓이란 걸 엔플로우를 통해 밝혀냈다. 또 서울 우면산 산사태, 태풍으로 인한 부산 해운대구 침수 등 대형 재해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제안하기도 했다.

정부의 스마트도시 구축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국가시범사업인 세종 스마트시티와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의 디지털 트윈 구축에 파트너사로 참여하고 있다. 스마트시티용 디지털 트윈 사업 등으로 수주 실적이 쌓이면서 내년엔 첫 흑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