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AA.31310613.1.jpg)
ETF 내 채권들의 평균 만기가 약 11일인 ‘KODEX 단기변동금리부채권액티브’에도 2190억원이 몰렸고, ‘TIGER 단기통안채’(약 70일)에도 1533억원이 들어왔다. ‘TIGER 단기채권액티브’(약 100일)에는 1233억원, ‘KODEX 단기채권PLUS’(약 180일)에는 1081억원이 순유입됐다. 만기 이외의 다른 요소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는 상품들이다.
단기채권형 ETF의 만기와 자금 순유입액이 반비례하는 셈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중장기채권형 ETF보다는 단기채권형 ETF를, 그중에서도 만기가 더 짧은 채권형을 찾는 투자자가 늘고 있다”고 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이례적으로 3회 연속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을 밟음에 따라 이 같은 경향이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내년 초까지 금리 인상 기조가 누그러지지 않는다면 만기가 긴 채권과 이를 담은 ETF의 수익률은 지속적인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밖에 없어서다.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은 “금리 인상 기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수익을 내진 못하지만 안정적인 단기채권형 ETF 선호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