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AA.31333488.1.jpg)
충청남도는 지난달 민선 8기 들어 첫 외자 유치에 성공했다. 도는 반도체용 특수가스, 산업용 축전지, 고급 바닥재 타일 제조 등 3개 글로벌 기업과 천안·홍성에 4700만달러를 투자해 공장을 신·증축하기로 협약했다고 28일 밝혔다.
특수가스 등 기초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칸토덴카 화인프로덕츠 한국공업은 천안 제5 일반산업단지 외국인 투자지역 확장 부지 2만5098㎡에 3000만달러를 들여 반도체용 특수가스 생산 시설을 증축한다. 공장이 가동하면 국내 기업에 반도체용 특수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남일중공업은 1만978㎡에 산업용 축전지 생산공장을 추가 건립하고, 동신포리마는 홍성 구항농공단지 7355㎡에 1200만달러를 투자한다. 도 관계자는 “외국 기업의 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되면 향후 5년간 7500억원의 매출 상승, 3580억원 수출 증대, 160명의 신규 고용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자동차부품, 석유화학산업을 이끄는 핵심 지역이다. 무역협회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산업의 충남 수출액 비중은 120억8000만달러(56.5%)를 차지한다. 자동차부품 산업은 국내 시장의 7.9%를 점유한다. 석유화학산업은 서산 석유화학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연간 에틸렌 478만t과 석유화학제품 791만t을 생산한다. 국내의 37.6% 수준이다. 철강산업은 현대제철과 동부제철 등이 국내 물량의 23.7%를 생산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AA.31362215.1.jpg)
국가별로는 일본 9개, 미국 8개, 중국과 독일 각각 7개 프랑스와 대만 각각 6개 등이다. 벨기에, 네덜란드, 노르웨이, 사우디아라비아, 스위스, 캐나다, 룩셈부르크, 영국, 스웨덴 기업도 충남에 투자하기로 했다. 단일 투자 규모로는 프랑스 토탈이 5억달러로 가장 많았다. 연구개발(R&D) 분야에서 독일의 베바스토가 전기차용 배터리팩 개발을 위해 1억800만달러를 투자한다.
미국 듀폰과 벨기에 유미코아가 반도체용 첨단소재와 2차전지 양극재 개발을 위해 각각 3000만달러를 투자한다. 대만 글로벌웨이퍼스는 반도체 실리콘 웨이퍼 생산을 위해 1억1200만달러를 투자하는 등 기업들이 앞다퉈 충남에 반도체 생산용 필수제품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2024년에는 충남 홍성과 경기 화성(송산)을 연결하는 90㎞ 구간의 서해선 복선전철이 생긴다. 시속 260㎞의 고속열차가 홍성에서 송산까지 40분 만에 주파한다. 서해선은 지하철 신안산선(약 40㎞)을 통해 서울로 이어진다.
서해선과 KTX를 연결하는 사업도 본격화한다. 경기 평택 청북(서해선)에서 화성 향남(KTX)까지 7.1㎞ 구간을 연결하는 사업으로 5491억원이 투입된다. 두 선로가 연결되면 홍성에서 서울까지 48분이면 닿는다. 장항선(아산~군산)도 2026년까지 118.6㎞ 구간이 단선에서 복선으로 바뀐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AA.31362214.4.jpg)
고속도로망도 갖춰진다. 2027년 충남 서북부 산업벨트와 내륙을 연결하는 천안당진고속도로(43.68㎞)가 개통한다. 경기(평택)~충남(부여)~전북(익산)을 잇는 서부내륙민자고속도로(137.4㎞)는 2024년 1단계(평택~부여)에 이어 2034년 2단계(부여~익산)가 완공된다. 충남 서해안은 당진·평택, 대산, 보령, 태안, 장항 등 5개 무역항이 있다. 경부와 호남고속철도, 경부·호남·장항 등 3개의 철도노선과 수도권 전철이 지난다. 도는 민선 8기 교통 인프라를 기반으로 남부권 균형발전을 위해 논산 국방 국가산단, 청양산단, 부여산단을 조성할 계획이다.
김태흠 지사는 “국가산업 발전의 중심이 서해안으로 이동하면서 제조업 기반의 산단이 밀집한 충남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다”며 “거미줄 교통망과 기업 수요에 맞는 입지 제공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경제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홍성=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