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합병투표를 시행한 우크라이나 점령지를 러시아 영토에 편입하는 합병 서명식을 연다. 서방은 ‘투표 조작’에 기반한 러시아의 강제 합병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재차 못박았다.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도 예고했다. 가스관 누출 사고 해역에서 러시아 해군함이 관찰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배후를 둘러싼 진실 공방도 가열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AA.31380253.1.jpg)
이번 조약이 체결되면 이후 상·하원 비준 동의, 대통령 최종 서명 등의 과정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 역시 빠르게 처리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014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했을 때도 주민투표 이후 대통령 최종 서명까지 모든 과정이 6일 만에 마무리됐다.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의 강제 병합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총으로 위협받은 주민들이 어쩔 수 없이 찬성표를 던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주민투표는 무력으로 영토를 빼앗는 불법적인 시도”라고 강하게 규탄했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미국과 동맹국은 영토 합병을 지원하는 러시아 안팎의 개인과 단체에 추가 경제 제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EU도 러시아의 강제 합병에 대응한 추가 제재를 준비하고 있다. 러시아산 원유에 가격 상한제를 도입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유가 상한선을 넘는 거래에 대해선 해상 수송 관련 보험 서비스 등을 제공하지 않는 방식이다. 이 밖에 러시아산 철강제품, 종이, 보석 등으로 수입 금지 대상을 확장하는 방안도 포함될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지난 26~27일 발트해에서 발생한 가스관 누출 사고와 관련해선 진실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서방은 에너지 무기화를 일삼는 러시아를 폭발 배후로 지목했지만 러시아는 이를 일축했다. 가스관 인근국인 덴마크 측은 “가스관 내 압력과 가스 누출량을 감안해 최대 2주 후에야 제대로 조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스관 누출 지점은 총 네 개로 늘었다. 29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해안경비대는 “기존에 노르트스트림1과 노르트스트림2 가스관에서 확인됐던 세 곳의 누출 지점 외에 추가로 한 곳이 더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사고 당일 러시아 해군 함선이 인근 해역에서 목격됐다는 보도도 나왔다. 28일 CNN은 서방 정보 당국자들을 인용해 “26~27일 유럽 보안 관리들은 러시아 해군의 군수 지원함들이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누출 해역 근처에 있는 것을 관찰했다”고 전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번 가스 누출 사태를 논의하기 위해 30일 긴급회의를 열기로 했다.
허세민/노유정 기자 semin@hankyung.com
관련뉴스